◇ 10개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미래 우리경제의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4회차 국가대표 혁신기업 235개 선정(누적 835개 선정)
*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국토부, 문체부, 환경부, 특허청, 방사청(신규참여)
◇ 4회차 선정기업은 첨단제조, 환경, 바이오, 신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특히 금번에는 정부 R&D 과제를 성공하여 기술사업화 등을 앞둔 기업도 다수 선정
◇ 금번에는 기존 선정기업 대상 성과분석 및 설문조사도 실시
ㅇ (성과분석) 국가대표 혁신기업은 매출액 증가율, 고용증가율, R&D 투자비중 등이 일반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남
ㅇ (설문조사) 선정기업은 혁신기업 선정절차, 금융지원 등에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IR, 경영컨설팅, 투자박람회 등 정책금융기관의 비금융 지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앞으로 금융위는 선정기업 대상으로 경영컨설팅, 투자박람회 등 비금융 지원 프로그램도 적극 제공할 계획
ㅇ 또한, 각 부처별 선정기업에 대한 투자설명회(IR)를 실시하여 지분투자 유치 기회를 제공해 나갈 예정
◇ 22년중 1,000개 기업을 모두 선정하면, 선정된 기업의 혁신성, 기술력, 미래성장성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하고 혁신에 도태된 기업을 지원대상에서 제외(Out)하고 새로운 기업을 추가 선정(IN)하는「Out/In 시스템」을 제도화할 계획입니다. |
1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추진경과 |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사업개요
산업부문 전문성과 이해도가 높은 관계부처(관계기관)의 평가를 바탕으로 산업별로 미래 혁신을 선도할 혁신 대표기업(1000개)을 선정하고 금융을 지원하는 정책사업 |
[1] (도입) ΄20.7.30일, 정부는 제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종합금융지원방안」을 의결하였습니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추진 체계도>
|
[2] (1~3회차 선정 및 지원) 그간 산업부, 중기부 등 9개 부처*와 협업을 통해 3차례에 걸쳐 600개 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하고
*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국토부, 문체부, 환경부, 특허청
ㅇ 자금수요가 있는 406개 기업에 총 1,392건, 4조 5,116억원(대출 32,340, 보증 8,694, 투자 4,082억원)의 정책금융을 지원하였습니다.
[3] ΄21.10월초부터 협업부처를 10개*로 확대(방사청 신규 참여)하여, 금일 4회차 대표 혁신기업 235개를 추가로 선정하였습니다.
*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국토부, 문체부, 환경부, 특허청, 방사청
|
【그간의 지원실적】 |
|
||||||||||||||||||||||||||||||||||||||
|
|
|||||||||||||||||||||||||||||||||||||||
□ 1~3회차 600개 선정기업 중 자금수요가 있는 406개사에 대해 총 1,392건, 4조 5,116억원(대출 32,340, 보증 8,694, 투자 4,082억원) 지원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금융지원 실적(΄21.10월말 기준) > (단위:개, 건, 억원)
* 중복지원을 감안한 업체수 |
2 |
4회차 혁신기업 선정현황 |
[1] 선정개요 |
□ 주력제조, ICT 등 각 산업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10개 부처가 산업분야별 특성을 감안한 선정기준을 마련하고
*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국토부, 문체부, 환경부, 특허청, 방사청
ㅇ산업계 의견을 수렴하여 총 235개 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2] 선정기업 현황 |
➊ 10개의 정부부처에서 다양한 산업분야의 혁신기업을 선정 하였습니다. |
산업통상 자원부 |
중소벤처 기업부 |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
문화체육 관광부 |
특허청 |
48개 |
43개 |
30개 |
22개 |
22개 |
(5개) |
(42개) |
(23개) |
(16개) |
(17개) |
국토교통부 |
방위사업청 |
해양수산부 |
환경부 |
보건복지부 |
21개 |
16개 |
13개 |
10개 |
10개 |
(16개) |
(13개) |
(6개) |
(10개) |
(3개) |
※ ( ) 정부부처별 R&D과제 성공기업
➋ 혁신성장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혁신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BIG3 분야* 44개(18.7%), 뉴딜분야 198개(84.3%) 포함 *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
❸ 초기 혁신기업(업력 7년 이내)이 50% 이상, 중소기업이 90% 이상 선정 되었습니다. |
【선정기업 업력】 |
【선정기업 규모】 |
|
|
❹ 부처별 정부 R&D 과제 성공 혁신기업 들을 다수 선정하였습니다.
* 정부 재정지원 R&D 공모에 참여 및 선정되어 R&D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기업 중에서 각 부처가 혁신성을 인정한 기업
- 4회차 235개 선정기업 중 정부 R&D 과제 성공기업이 151개(64.3%) 선정되었습니다.
- 정부(재정) R&D 사업을 통해 개발한 기술 등이 사업화 단계로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정책금융을 지원합니다. |
< 4회차에 선정된 정부 R&D 과제 성공기업 사례 >
환경부 선정 Y 기업 |
|
정부 R&D 과제명 |
정수처리공정 진단 및 통합운영 시스템 개발 |
정부 R&D 과제내용 |
- 정수처리시설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개발 - 정수처리시설 조기경보 및 통합운영 시스템 개발 |
R&D 과제 사업화 현황 |
- 측정 관련 특허 2건 등 국내특허 3건 보유 - ISO9 001:2015, 환경부 혁신제품, NEP 신제품 인증 보유 |
방위사업청 선정 D 기업 |
|
정부 R&D 과제명 |
군사무기체계용 GPS 안테나 국산화 개발 |
정부 R&D 과제내용 |
- 군사무기체계 중 하나인 전술이동통신체계(TMCS)용 GPS 안테나 핵심부품 국산화 개발 |
R&D 과제 사업화 현황 |
- 위성항법장치 관련 특허 32건 보유 - 나로호, 누리호 한국형 위성 발사체 나로우주센터 시험 참여 |
과기정통부 선정 G 기업 |
|
정부 R&D 과제명 |
비대면 온라인 AI 교육을 위한 올인원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 |
정부 R&D 과제내용 |
- 클라우드 기반 교육 실습 환경, 비대면 교육 지원 기능 개발 등 |
R&D 과제 사업화 현황 |
- 주요 고객: 정보포털, 전자제품 제조사, 자동차부품사, 주요대학 등 |
[3] 부처별 선정현황 |
(※각 선정기업별 상세현황은 각 부처 문의)
□ (산업부) 주력 제조 및 에너지 분야 등을 대상으로 소재·부품·장비, 탄소중립 선도기업 등 총 48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화력 및 원자력 발전 플랜트용 발전기 등 제조업체 E사 (에너지 부문)
- 혁신성 : 석탄화력발전소 연소중 발생한 황산화물질을 100% 수준까지 차단하는 탈황미세먼지저감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
- 기 타 : 화력발전소 탈황‧미세먼지저감 ‘무누설 열교환기’ 신기술(NET) 인증(`21년) |
□ (중기부) 중소혁신 분야를 대상으로 정보통신, 지식서비스, 환경·지속가능 중소기업 등 총 43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반도체 제조업체 S사 (반도체 부문)
- 혁신성 : Micro-LED 디스플레이 구동, 화소 제어 등 Micro-LED 디스플레이에 필수적인 시스템반도체 기술 보유 기업 - 기 타 : 최근 3년 평균 매출 166.5% 증가, 국내 특허 23건 보유 |
□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의약생명 전문기업 등 총 30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인공지능 전문업체 P사 (정보통신 부문)
- 혁신성 : 다국어 기반의 QA(Question Answering)‧TA(Text Analytics) 플랫폼*을 개발‧상용화하여 실제 수익사업화에 성공한 기업
* 개인별 메신저 text 등을 학습(Deep Learning)하여, 특정키워드‧질문을 입력하면 그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정보‧답변을 제시하는 인공지능 플랫폼
- 기 타 : 총 12건(국내 11건, 미국 1건)의 인공지능 핵심기술 특허 등록 |
□ (문체부) 문화체육관광 분야를 대상으로 콘텐츠, 예술, 스포츠, 관광 관련 총 22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시각 특수효과 기술 보유기업 D사 (콘텐츠 R&D 부문)
- 혁신성 : 아시아 최고 수준의 VFX(Visual Effects) 기술력을 바탕으로 영화, OTT 콘텐츠의 기술성을 향상시키는 등 탁월한 시각 특수효과 기술 보유
- 기 타 : 영화 ‘신과함께 1,2’, ‘백두산’, ‘모가디슈’ 등 제작 및 기술지원 참여, 백상예술대상(예술상, 감독상), 청룡영화상(기술상, 최다관객상) 등 수상 |
□ (특허청) 지식재산 분야를 대상으로 유망 기술을 보유한 지식재산 기반 중소기업 총 22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정보통신기기, 검사장비, 의료기기 등 주력업체 I사 (건강ㆍ진단 부문)
- 혁신성 : 고령자의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인지장애, 치매 등을 예방하기 위해, 인지기능 재활을 지원하는 IT기술 기반 맞춤형 솔루션 등 개발
- 기 타 : 시청각 연동형 인지훈련 시스템 등 관련 특허 17건 보유 및 관련 국책 연구개발(R&D) 9건 수행 |
□ (국토부) 국토교통 분야를 대상으로 자율주행차, 스마트 시티, 스마트 건설, 드론 기술 기업 등 총 21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녹색건축・청정교통 선도 에너지기업 G사 (에너지 부문)
- 혁신성 : 지하철 등 전동차 정차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등 친환경 에너지 핵심기술 보유
- 기 타 : 최근 3년 평균 매출 44.7% 증가, 특허 24개 보유 |
□ (방사청) 방위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무기체계 적용, 방산수출 등 성과 창출한 핵심부품국산화 개발기업, 글로벌 방위산업 강소기업 등 총 16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위성항법장치 전문 제조업체 D사 (첨단제조/자동화 부문)
- 혁신성 : 정밀항법기술과 항재밍기술로 정밀유도무기체계(대지/대함 유도탄, 유도로켓 등) 고도화 등을 위한 핵심부품 국산화 기술 개발 지속 등 항법분야 우수기술 보유 기업
- 기 타 : 나로호/누리호 한국형위성 발사체 나로우주센터 시험 참여, 위성항법장치 관련 특허 32건, 방위산업 R&D 5건(‘16~’20년), |
□ (해수부) 해양수산 분야를 대상으로 수산물 유통 플랫폼, 수중로봇, 해양바이오 등 총 13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수산물 유통플랫폼 기업 T사 (지식서비스 부문)
- 혁신성 : 전국 수산물의 시세, 품목 등을 한눈에 비교‧구매할 수 있도록 해 접근 편의성 향상, 탐색비용 절감 등 수산물 유통구조 혁신
- 기 타 : ’18년 대비 ’20년 매출액 752% 성장, 해양수산부 장관 표창 수상(’19) |
□ (환경부) 환경 분야를 대상으로 청정대기, 자원순환, 스마트 물, 녹색 융ㆍ복합기술 기업 등 총 10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친환경 제설제 생산기업 S사 (녹색융·복합 부문)
- 혁신성 : 불가사리 추출물로 만든 친환경 제설제를 개발하여, 해양폐기물 처리와 자동차 부식, 아스팔트 파손, 가로수 고사 등 토양ㆍ수질오염을 유발하는 기존 제설제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 - 기 타 : 특허 7건, 친환경 고상 제설제 국내 조달시장 점유율 1위(’21.1) |
□ (복지부) 보건복지 분야를 대상으로 혁신의료기기 부문, 보건신기술 부문 등 총 10개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
< 대표적인 혁신기업 사례 > |
|
|
|
|
◇ 보건신기술(NET) 인증기업 J사 (건강ㆍ진단 부문)
- 혁신성 : 피부 노화 방지 관련 핵심 소재인 히알루론산을 세계 최초로 파이버, 필름, 부직포 등의 고체 형태로 제조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
- 기 타 : 보건신기술 인증(‘21), 기술특허 12건, GMP인증 등 |
3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성과 분석 |
□ 혁신기업으로 선정되어 금융지원을 받은 기업은 일반기업에 비해 성장성, 혁신성, 고용창출 등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
※ 성과분석 개요
➊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으로 선정되어 정책금융을 지원받은 기업과 일반기업*간 성장성, 혁신성, 고용증가율 등을 비교
* NICE DB상 ‘20년‧’21년 상반기말 재무제표상 매출액 확인가능 기업
➋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20.7월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20년 상반기와 ‘21년 상반기 실적을 비교
➌ ‘21.5월 선정된 3회차 선정기업은 정책효과 분석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제외 |
[1] (성장성)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으로 선정‧지원한 기업(이하 “선정기업”)은 일반기업 대비 매출액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ㅇ 선정기업의 ‘21년 상반기 매출액은 ’20년 상반기 대비 17.9% 증가
ㅇ 일반기업은 같은 기간중 12.9% 증가
[2] (혁신성) 선정기업은 일반기업 대비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지속적인 혁신 노력)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ㅇ 선정기업의 ‘21.상반기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은 4.0%
ㅇ 일반기업의 같은 기간중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은 2.8%
[3] (고용증가율) 선정기업은 일반기업 대비 고용증가율이 높았습니다.
ㅇ 선정기업의 ‘21.상반기 고용인원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은 4.7%
ㅇ 일반기업의 같은 기간중 고용인원 증가율은 △0.1%
※ 성과분석의 한계
▪ 금번 성과분석은 『국가대표 혁신기업 1000』 정책사업의 운영기간이 짧고 분석대상이 제한되어 정책의 성과를 판단하기에는 한계
▪ 향후, 충분한 시계열 데이터가 축적되면, 보다 엄밀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정밀한 성과분석을 실시할 계획 |
4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관련 설문조사 |
※ 설문조사 개요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
➊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1~3회차 선정기업 600개 대상 설문조사 실시
➋ 설문에 응답한 기업은 296개로 응답률은 49.3% |
[1] (신청목적)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선정기업들의 프로그램 신청목적은 ➊ 투자지원을 받기 위해서(44.6%), ➋ 대출‧보증지원을 받기 위해서(40.2%), ➌ 혁신기업 인증 홍보효과(11.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 (선정기준‧절차 등에 대한 만족도) 선정된 기업들은 혁신기업 선정기준‧절차 등에 대해 83.8% 만족하고, 0.7%가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정책금융지원에 대한 만족도) 선정기업들은 정책금융기관과의 상담 과정에 대해 42.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습니다.
ㅇ 한편, 정책금융을 지원 받은 기업들은 77.8%가 금융지원 프로그램에 만족한다고 응답했고, 13.6%가 불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ㅇ 불만족 사유는 ‘금융지원 금액 부족(36.4%)’, ‘금융지원 방식 상이(18.2%)’, ‘금융지원 조건(18.2%)’ 등이 나타났습니다.
[4] (비금융 지원) 선정기업 대다수(89.2%)가 정책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비금융 지원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정책금융기관의 非금융지원 프로그램 예시
➊ 넥스트라이즈(산은) : 혁신기업 박람회로서, 연1회 개최
➋ 넥스트라운드(산은) : 벤처‧혁신기업 투자설명회(IR)로서, 주2~3회 개최
➌ Mega-7 Club(산은) : 대형VC간 혁신기업 투자 간담회, 연2~3회 개최
➍ 기타 : 경영컨설팅(신보, 기은), 신용보증 IR(신보) 등
[5] (건의사항) 선정기업들은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➊혁신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우대혜택 확대, ➋비금융 지원 프로그램 확대, ➌금융‧비금융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건의하였습니다.
5 |
향후 추진계획 |
□ 부처별 IR 개최
ㅇ 설문조사 결과, 선정기업 40% 이상이 투자 유치를 희망하고 있는 만큼,
- 22년중 각 부처별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IR을 개최하여 정책금융기관, 성장금융, 벤처캐피탈, 자산운용사 등의 투자유치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 금년 12월중 금융위 - 산업부 공동으로 산업부 선정기업에 대한 투자설명회(IR) 개최를 추진했으나, 코로나19 상황 등을 감안하여 순연
□ 비금융 지원 프로그램 홍보 및 연계 강화
ㅇ 설문조사 결과, 다수 선정기업이 정책금융기관의 비금융 지원 프로그램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만큼,
ㅇ 산은 NextRise, Mega-7 Club 등에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기업 대상으로 특별세션을 마련하여, 대형 벤처캐피탈, PE 등으로부터 투자유치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습니다.
□ 22년중 5회차 혁신기업 선정 및 주기적 평가시스템 도입
ㅇ ‘22년중 5회차 선정절차를 거치면 1,000개 혁신기업에 대한 선정이 완료(5회차) 됩니다.
ㅇ 1,000개 기업에 대한 선정이 끝나면, 앞으로는 각 부처별 선정기업의 기술혁신 노력, 미래 성장가능성, 재무‧비재무 성과 등을 매 반기별로 평가하여
- 지속적인 혁신노력이 미흡하거나, 미래 성장가능성이 약화된 기업을 선정기업에서 제외(Out)하고, 새롭게 등장한 혁신기업을 선정(In)하는 제도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 세부계획은 22년중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구체화해 나갈 예정
□ 산업계와 지속적인 소통노력 강화
ㅇ 최근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 펜데믹 등으로 디지털化, 탄소중립 등 산업 전반의 구조적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 개별 산업부문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 산업내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을 선별‧지원하기 위해서는 금융-산업부문간 협업이 중요합니다.
ㅇ 이러한 관점에서 마련된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정책사업은 금융권에서 추진해 온 IP금융 등 동산담보 활성화, 기술금융 고도화 등과 함께
- 담보나 재무적 성과가 당장은 부족하지만 기술 혁신성과 미래 성장가능성이 큰 기업에 충분한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ㅇ 앞으로도 금융위는 산업부처, 관계기관 및 전문가 등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프로그램을 개선‧보완해 나가겠습니다.
※ 별첨1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선정 및 금융지원 프로세스
별첨2 :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4회차 선정기업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