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자료] 이종산업간 데이터 결합·활용 활성화를 위해데이터 결합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신용정보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 개정안 입법예고 및 안내서 개정)
2022-01-06 조회수 : 27476
담당부서금융데이터정책과 담당자김영민 사무관 연락처02-2100-2621


◈ 異種산업간 데이터 결합·활용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결합 및 데이터 전문기관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

 

데이터 이용기관의 데이터 결합신청 허용 ➡ 결합할 데이터를 보유하지 못한 창업·중소기업 등의 데이터 결합 접근성 제고

 

샘플링 결합 절차 도입 ➡ 보다 효율적데이터 결합을 지원

 

데이터 자가결합 허용요건 확대안전하고 편리한 자가결합이 가능

 

데이터 결합 관련 세부 절차 표준화 ➡ 데이터 결합준비 편의성을 제고

 


1

 

개요

 

금융분야다양한 분야간 데이터 결합·활용 활성화를 통해 금융이 데이터 경제 시대를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ㅇ 그간 발표된 데이터 결합 제도 개선 추진방안*을 법제화하는 ‘신용정보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합니다.

 

 * 「금융분야 가명정보 결합·활용 가속화 보도자료(’21.5.27일)」, 「관계부처 합동 가명정보 성과보고회(’21.7.28일)」 등을 통해 데이터 결합 제도개선 추진방안 발표

 

□ 동 법령 개정안은 다양한 분야 및 산업간 데이터 결합 접근성을 제고하고, 데이터 결합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데이터 결합 제도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내용입니다.



2

 

법령 주요 개정내용

 

() 데이터 결합 및 데이터전문기관 제도 개선

 

[1] 데이터 이용기관의 데이터 결합신청 허용(영 §14의2, 규정 §15의2)

 

(현행) 現 신정법령에서는 데이터 결합 신청 등 결합 관련 행정 및 지원업무 등을 모두 데이터보유한 기관만 할 수 있어,

 

- 데이터 미보유기관이 타 기관의 데이터를 결합‧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예: A핀테크업체(데이터 보유기관)의 고객 결제·송금정보와 B은행(데이터 보유기관)의 여·수신정보를 결합하여 C신용평가사(데이터 이용기관)가 신용평가 모델을 만드는데 활용하려는 경우 결합신청 및 관련지원은 C가 아닌 A, B가 하여야 함

 

(개선) 결합할 데이터를 보유하지 않은 데이터 이용기관데이터 결합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습니다.

 

 * 데이터 이용기관은 데이터 보유기관과 데이터 제공협의가 완료된 이후 결합신청

 

- 이에 따라, 데이터 결합 절차 중 데이터 보유기관은 결합할 데이터를 가명처리하여 데이터전문기관에 전송하는 업무만 담당하고, 이외 절차는 데이터 이용기관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개보법의 경우 데이터 이용기관의 데이터 결합 신청 및 참여 旣 허용

 

< 데이터 이용기관(데이터 미보유)의 데이터 결합 활용 절차 전후 비교 >

데이터 이용기관(데이터 미보유)의 데이터 결합 활용 절차 전‧후 비교(현행) - 1.결합신청(데이터보유기관->데이터전문기관) 2.결합할 데이터 전송(데이터보유기관->데이터전문기관) 3.데이터 결합 및 적정성 평가(데이터전문기관,데이터보유기관,데이터이용기관 상호협의) 4.결합된 데이터 전달(데이터전문기관->데이터보유기관) 5.결합된 데이터 재전달(데이터보유기관->데이터이용기관)

데이터 이용기관(데이터 미보유)의 데이터 결합 활용 절차 전‧후 비교(개선) - 1.결합신청(데이터이용기관->데이터전문기관) 2.결합할 데이터 전송(데이터보유기관->데이터전문기관) 3.데이터 결합 및 적정성 평가(데이터전문기관,데이터이용기관 상호협의) 4.결합된 데이터 전달(데이터전문기관->데이터이용기관)


[2] 샘플링 결합* 절차 도입(영 §14의2, 규정 §15의2)

 

 * 안전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 등을 위해 데이터 전체를 분석하기보다 대량의 데이터일부(예: 5%)를 추출하여 결합하고 분석하는 방식

 

(현행) 現 결합제도에서는 데이터 일부추출하여 결합하는 경우 정보주체 동의가 필요*하는 등 샘플링 결합제한적으로만 가능한 상황입니다.

 

 * 각 기관이 동일한 샘플추출하여야 하므로 샘플링된 결합키를 상대기관에 제공하여야 하나 결합키는 개인정보정보주체 동의없이 제3자 제공 불가

 

- 이에, 정보주체 동의없이 데이터 결합을 진행하기 위해서 결합데이터의 일부만 샘플링해서 활용하려는 경우에도 전체 데이터전문기관에 제공‧결합하는 등 비효율적인 데이터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 예) A은행과 B카드사가 중복되는 고객중 5%만 샘플링하여 결합‧활용하려는 경우에도 A은행과 B카드사의 전체 고객정보를 결합한 후 샘플링

 

(개선) 샘플링하여 데이터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샘플링 결합’ 절차를 도입하여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 샘플링 결합을 기존 결합절차하나로 포섭함에 따라, 샘플링 결합 선택시 정보주체 동의없이*샘플링된 데이터만 데이터전문기관에 전송하여 결합할 수 있어 효율적 결합 수행이 가능합니다.

 

 * 데이터전문기관은 신용정보법(§32⑥9의3.)에 따라 가명정보 결합 목적으로 정보주체 동의없이 가명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 샘플링 결합 절차 >

샘플링 결합 절차 - 1.결합신청(데이터이용기관->데이터전문기관) 2.(필요시)데이터 샘플링(①결합키전송(데이터보유기관->데이터전문기관) ②결합키 결합 및 샘플링(데이터전문기관,데이터이용기관(상호협의) ③샘플링된 결합키 전달(데이터전문기관->데이터보유기관)) 3.결합할 데이터 전송(데이터보유기관->데이터전문기관) 4.데이터 결합 및 적정성 평가(데이터전문기관,데이터이용기관 상호협의) 5.결합된 데이터 전달(데이터전문기관->데이터이용기관)


[3] 데이터 자가결합 허용요건 확대(규정 §15의2)

 

(현행) 데이터전문기관이 자가결합ⅰ)할 경우 데이터 오·남용 등 이해상충 우려)가 있어 이해상충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만 허용중입니다.

 

 * ⅰ) 데이터전문기관이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와 제3자의 데이터를 결합

   ⅱ) 데이터전문기관이 결합된 데이터의 가명처리 적정성평가하여 결합의뢰기관에 제공하고 있어, 전문기관이 결합의뢰기관인 경우 스스로 평가하는 이해상충 문제 우려

 

- 결합데이터외부에 제공(개방)하는 경우 이외에는 데이터전문기관이 자기 데이터를 결합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결합 활성화크게 저해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 데이터전문기관 역할 : ➀ 금융회사와 제3자의 데이터 결합, ➁ 결합데이터의 가명처리 적정성 평가, ➂ 익명데이터의 익명처리 적정성 평가 등

 

(개선) 적정성 평가타 데이터전문기관수행하여 결합된 데이터의 가명처리가 적절히 이루어졌음을 인증받는 경우 데이터전문기관이 자기데이터를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4] 데이터 전문기관 지정 유효기간 신설(규정 §28의3)

 

(현행) 데이터전문기관충실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데이터전문기관 지정 이후 주기적으로 데이터전문기관으로서의 적격성을 심사하는 절차가 필요하나, 현재는 그러한 절차가 없습니다.

 

 * 현재는 고의‧중대과실로 업무를 부실하게 수행하는 경우에만 전문기관 지정취소 가능

 

(개선) 전문기관 지정이후에도 전문성 등 적격요건 심사를 위해 지정 유효기간(3년)을 부여하여, 매 3년마다 재심사하겠습니다.

 

 * 감독규정 개정 완료 전까지는 데이터전문기관 지정부관으로 지정 유효기간 3년부여할 예정

 

 ※ 개보법은 시행령(§29의2④)에서 전문기관 지정 유효기간을 3년으로 旣 규정

 

[5] 데이터전문기관 지정 요건 합리화(규정 별표7)

 

(현행) 현행 데이터전문기관 지정 요건은 민간기업이나 비영리법인 등을 상정하고 설정되어 있어,

 

- 국가기관에 대해 데이터전문기관 지정을 심사할 경우 적용이 어려운 불합리한 지정요건*적용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 임원 적격성 요건, 재정능력(순자산 대비 부채총액 비율) 요건 등

 

(개선) 임원 적격성 요건, 재정능력 등은 국가기관미적용하여 전문성있는 국가기관도 데이터전문기관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국가기관은 임원 특정이 어렵고, 국가공무원법 등에 따라 전 구성원의 적격성이 인정되며, 국가가 업무 연속성을 보장하므로 임원 적격성 요건 및 재정능력 심사 불필요

 

(나) 기타 개정사항

 

[1] 사망자 정보 공유범위 확대(규정 별표6)

 

(현행) 각 금융회사신정원여신 고객정보만제공함에 따라, 현재 신정원은 여신 고객의 사망여부행안부에 확인하여 금융회사에 공유하고 있습니다.

 

- 이에, 수신만 있는 고객의 사망여부는 금융회사가 신정원을 통해 확인불가능한 상황입니다.

 

(개선) 금융회사가 수신고객의 사망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수신 고객정보신정원에 공유하는 것을 허용하겠습니다.

 

[2] 불이익정보 공유시 사전통지의무 합리화(영 §30의3) 

 

(현행) 금융회사 등이 개인 신용도판단정보(연체정보 등)를 신정원, CB사제공하려는 경우 최소 7일 전정보주체에 사전통지(서면, 전화, 이메일, 문자 중 택1)가 필요합니다.

 

- 통지일영업일 기준으로 되어 있지 않고, 통지방법도 기술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제한적이어서 사전통지업무 수행에 애로

 

(개선) 통지일을 최소 5영업일 전으로 변경하고, 통지방법확대(스마트폰 앱 등 가능) 하겠습니다.



3

 

금융분야 가명·익명처리 안내서* 주요 개정내용

 

 * 지난 ’20.8월 금융회사등개정 신정법에 따라 도입된 가명·익명정보 활용데이터 결합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 예시 등을 안내서 형태로 정리하여 배포

 

◇「금융분야 가명·익명처리 안내서」개정을 통해 데이터 결합 세부 절차 표준화

 

ㅇ 개정된 안내서(별첨)는 금감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배포(‘22.1.7일)

 

 * 금감원 홈페이지 (http://www.fss.or.kr) - 업무자료 - 공통 – 개인정보보호

 

[1] (절차 표준화) 데이터 결합신청서 등의 작성방법구체화하는 한편 전문기관별 상이한 신청양식 및 제출서류* 등을 통일하였습니다.

 

* 정보집합물 결합신청서, 익명처리 적정성평가 신청서, 기초자료 작성방법, 결합정보 관리환경 및 이행확약서 등

 

[2] (활용사례 반영) 전문기관이 수행한 주요 가명·익명정보 처리사례를 반영하여 데이터 활용 예정기업이해도제고하였습니다.

 

가명

처리

사례

➤ 핀테크 결제·고객 행동정보 + 은행 여·수신 정보

 ➡ 청년층 신용평가 모형 개발

가명처리사례 - 핀테크사 이용정보:충전,결제,송금 등 핀테크사 이용정보 + 은행정보:여·수신정보 및 신용정보 -> 대안신용평가모형 개발:금융취약계층 전용 대안 신용평가모델 개발

익명

처리

사례

➤ 카드 결제 내역을 통한 고객의 백화점 업종별 이용행태 통계

 ➡ 고객 분석 및 마케팅 인사이트 발굴

익명처리사례 - 카드 결제 내역:고객의 백화점 업종별 이용 형태 + 익명 처리:K-익명성,범주화 -> 마케팅 인사이트 발급:가맹점 업종별 수익성 비교 및 개선방향 도출

 

[3] (FAQ 신설) 데이터 활용관련 금융감독당국 및 데이터전문기관으로 접수된 주요 문의내역에 대한 FAQ(27건)반영하였습니다.



4

 

기대 효과

 

[1] 데이터 이용기관의 결합신청이 가능해짐에 따라 보유 데이터가 없는 창업‧중소기업 등의 데이터 결합‧활용이 보다 원활해져 창업‧중소기업 등의 금융정보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자가결합 확대 등을 통해 금융-비금융, 민간-공공 등 다분야‧이종데이터간 결합개방활성화됩니다.

 

[3] 샘플링 결합 허용, 데이터 결합 세부절차 표준화 등을 통해 데이터 결합에 소요되는 기간단축*됩니다.

 

 * 현재 약 14~20일 정도 기간 소요 → 제도 개선시 약 10~15일 내외로 단축 가능

 


5

 

향후 일정

 

입법예고(’22.1.7일~2.16일) 후 규개위, 법제처 심사 등 개정절차를 거쳐 상반기 중 법령 개정을 추진하겠습니다.

 

 ※ 개정된 금융분야 가명·익명처리 안내서는 ’22.1.8일부터 적용

 

< 안내사항 >

 

▶ 입법예고는 1.7일~2.16일까지 40일간 이루어지며, 의견이 있으시면 다음 사항을 기재한 의견서를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고 사항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 의견(반대시 이유 명시)

  성명(기관ㆍ단체의 경우 기관ㆍ단체명과 대표자명), 주소·전화번호


☞ 제출의견 보내실 곳

- 일반우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 금융데이터정책과

- 전자우편 : creatcross@korea.kr      - 팩스 : 02-2100-2548

 

개정안 전문(全文)은 “금융위 홈페이지(www.fsc.go.kr) › 정보마당 › 법령정보 › 입법예고”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별첨 > 금융분야 가명익명처리 안내서

첨부파일 (3)첨부파일 열림
220107 (보도자료) 신용정보업감독규정 일부개정.hwp (361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220107 (보도자료) 신용정보업감독규정 일부개정.pdf (555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금융분야 가명익명처리 안내서.pdf (11 M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