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참고]금융분야 global rule-setter로서의 역할 강화 - 신제윤 금융위원장, 제27기 FATF 의장 · IFRS 감독이사회 이사 선임
2014-03-11 조회수 : 8052
담당부서금융정보분석원 기획행정실 담당자윤우근 사무관 연락처2156-9420
담당부서금융정보분석원 기획행정실 담당자 국주성 사무관 연락처2156-9420

 최근 자금세탁방지 국제기구(FATF)IFRS 감독이사회 (Monitoring Board)각각 한국의 제27기 FATF 의장국 선임 ('14. 2. 14일), IFRS 상임이사국 선임 ('14. 1. 28일)을 공식 결정함

 

우리나라가 FATF 의장국·IFRS 상임이사국으로 선임됨에 따라, 신제윤 금융위원장제27기 FATF 의장*IFRS 이사**를 역임하게 됨

 

* 아시아에서는 일본('98∼'99), 홍콩('01∼'02)에 이어 3번째로 FATF 의장(국)을 수임하게 됐으며, 의장(국) 임기는 '15. 7월부터 1년 (FATF 운영규칙에 따라 의장(국) 임기 개시 직전 1년간 부의장(국) 업무를 수행하며, 의장 직위는 금융위원장직 유지 여부와 무관)

 

** 현재 IFRS 상임이사국은 미국, 호주, EU, 일본, 말레이시아 5개국이며, 한국·브라질이 추가 선출됨에 따라, 7개국 체제로 재편 (① 상임이사국 임기 : 영구 ('14. 2월∼), ② 이사 임기 : 위원장직 임기에 연동 ('14. 2월∼금융위원장직 임기 만료))

 

1

FATF (자금세탁방지 국제기구) 의장국 (직) 수임

 

FATF자금세탁방지분야 최고 권위 국제기구로,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역할을 확대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WMD)하며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주요 선진국들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등)FATF 의장개별 실무회의 의장(국)독점해 왔으며, 

 

금번 의장(국) 수임을 계기로 FATF 내에서 한국의 입지 강화하고, 관련 국제규범 제·개정한국의 입장보다 적극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한국은 3년 동안 ('14. 7월(의장국 임기 개시 1년 전)∼'16. 6월(임기 종료 후 1년)) FATF 운영위원회의 일원으로, FATF 의제 설정 등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

 

정회원 가입 과정에서 큰 어려움을 겪은 국가*가 정회원 가입 이후 단시일 내에 의장국에 선임된 것은 유례가 없는 일

 

* 한국은 정회원 가입 과정에서 유럽 주요국들의 반대로, 수차례 국제기준 이행 계획을 제출한 끝에 정회원 가입에 성공 ('09)

 

이는 10여 년에 걸친 금융권 전반에 대한 자금세탁방지 인프라 구축,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법령 정비자금세탁방지 제도 선진화를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임

 

금번 의장(국) 수임은 한국이 미국·유럽 등 자금세탁방지분야 중심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는 것을 보여주며, 금융한류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2

IFRS 상임이사국 및 이사 선임

 

IFRS 감독이사회는 IFRS 재단 IASB(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를 포함한 모든 산하기구의 활동을 감독하고 재단 이사선임하는 역할 수행하는 IFRS 내 최상위 기구로서,

 

상임이사국 선임 및 이사 배출을 통해 향후 국제회계분야에서 한국의 위상 제고하고, IFRS 제·개정 한국의 입장 보다 적극 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현재 IFRS 내에서는 정덕구 전 장관이 IFRS 재단 이사로, 서정우 전 회계기준원 원장이 IASB(국제회계기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

 

금번 한국의 감독이사회 진출은 IFRS 도입 및 정착을 위한 한국 정부 등의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임

 

경쟁 상대였던 중국, 인도, 러시아, 캐나다, 이탈리아 등보다 먼저 감독이사회로 진출하였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음

 

 

3

의의 및 향후 계획

 

금번 성과는 그 동안 한국 정부가 거둔 자금세탁방지 및 회계 분야 정책 성과한국의 높아진 국가위상 등이 반영된 결과임

 

금번 수임은 한국의 국격 및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와 함께,

 

미국·유럽 선진국 중심의 금융 분야 국제무대에서 한국이 수동적인 규칙 수용자 (rule taker)의 입장에서 벗어나,

 

명실상부한 규칙 제정자 (rule setter)로서 핵심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주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

 

금번 성과를 계기로 해당분야 국제규범 발전에 기여하는 한편, 한국의 입장이 보다 잘 반영될 수 있도록 FATF·IFRS 논의 무대를 적극 활용해 나갈 예정임

 

< 별첨 >

 

1. FATF 개요

2. FATF 및 FSRB(지역기구) 회원국 현황

3. FATF (부)의장 개요

4. FATF 의장국(직) 수임의 의의 및 기대 효과

5. IFRS 관련 국제기구 개요

6. IFRS 감독이사(회) 개요

7. IFRS 감독이사회 진출의 의의 및 기대 효과

 

 

별 첨 1

FATF (Financial Action Task Force) 개요

 

설립 목적

 

UN 협약 및 UN 안보리결의 관련 금융조치 (financial action)이행하는 행동기구 (task force)로 1989년 G7 합의로 설립

 

- 금융시스템을 이용한 자금세탁 및 테러·대량살상무기확산 관련 자금조달 방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외연 확대 중

 

회원 구성

 

36개 정회원, 8개 준회원 (FATF 권고사항 이행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8개 지역기구), 24개 옵저버 (IMF, WB, ADB 등 주요 국제기구)로 구성

 

* 우리나라는 '09. 10월 정회원 가입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1)첨부파일 열림
140311_보도참고자료_금융분야_Global_Rule-Setter로서의_역할_.hwp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