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6년 하반기 은행권 기술금융 실적평가 결과 및자체 기술금융 평가 레벨 심사결과
2017-03-06 조회수 : 8574
담당부서산업금융과 담당자오형록 사무관 연락처2100-2864

1.개요

□ '17.3.3.(금), 금융위원회는 전문가로 구성된 TECH 평가위원회와 자체 TCB 역량 심의위원회를 통해 ’16.하반기 중 은행 기술금융 실적평가(이하 “TECH 평가”)자체 기술신용평가 단계 심사

 

 TECH 평가 : 금감원(정량평가) 및 금융연TDB(정성평가)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에서 공급 실적, 초기기업 등 질적지원 노력 등을 평가(2.23.~3.3)

 

 자체 기술금융 심사 : 기술평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은행의 전문인력 수, 기술평가 수준, 모형 구축 등을 중심으로 요건을 심사(2.7.~3.3)

 

 

2.평가결과

(평가 결과) 대형은행 그룹에서 기업은행(73.6점/100점 만점) 1위를 차지하고 신한은행(69.0점)2위를 차지

 

소형은행 그룹에서는 경남은행(75.6점) 1위, 부산은행(72.4점)2위

 

< 은행권 TECH 평가 결과 >

구 분

제1차(’14.하)

제2차(’15.상)

제3차(’15.하)

제4차(’16.상)

제5차(’16.하)

대형은행

1위

신한

국민

신한

기업

기업

2위

우리

신한

KEB하나

신한

신한

소형은행

1위

부산

부산

부산

부산

경남

2위

대구

대구

경남

경남

부산

* 기업은행은 → ’16년부터 시중은행과 동일 그룹에서 경쟁(’16 前은 특수은행 그룹)

 

(대형은행 그룹) 우수기술 기업초기기업 지원이 증가되는 등 기술금융이 내실화되고 기술금융 투자가 큰 폭으로 확대

 

기업은행기술금융 공급, 우수 기술기업 지원 노력, 투자 대부분의 지표에서 상위권으로 평가

 

신한은행의 경우 신용대출 공급 비중, 우수 기술기업 지원 노력, 초기기업 등의 지원에서 상대적으로 우수

 

* (신용대출) 1위, (우수 기술기업 지원) 2위, (초기기업 지원) 2위 등

 

국민은행, KEB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의 경우 기술금융 투자대폭 확대되는 등 기술금융 지원을 강화하였으나, 기 공급한 기술금융 실적 등에서 상위 은행에 비해 부족한 측면

 

* ’16.6말 대비 ’16년말 은행 자체 기술금융 투자 증가율 : (국민) 632.2%, (KEB 하나) 133.7%, (우리) 108.2%, (농협) 121.0%, (기업) 39.7%

 

(소형은행 그룹) 선발은행의 적극적 노력으로 후발은행 기술금융 지원실적, 역량 등에서 격차*가 다소 확대되는 모습

 

* 기술금융 차주수 증가율(전기 대비) : (부산경남대구) 60%, (그외 은행) 15%

 

경남부산은행의 경우 기술금융 공급투자, 여신프로세스 내 기술금융 반영 노력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음

 

(평가 개요) 자체 기술금융 실시 레벨 2 수준인 6개 은행(국민기업산업신한우리하나)레벨 3 상향을 신청

 

ㅇ 심사결과, 6개은행은 심사요건을 모두 충족하여 레벨 3 승인

 

※ ’16.하반기, 레벨 1 수준이 승인되었던 부산경남은행의 경우 전문인력 채용 등의 준비로 레벨 2 상향 신청을 하지 않았음

 

(평가 결과) 자체 TCB평가 역량 심의위원회는 6개 은행을 대상으로 심사요건 충족 여부를 평가하여 모두 레벨 3 진입 승인

 

ㅇ 전반적으로 전문인력이 크게 확충되고 평가모형 개선 등을 통해 평가서 질적 수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단계별 실시 요건 >

항목

예비실시

정식실시

전면실시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

전문인력 수

5명 이상

10명 이상

15명 이상

20명 이상

평가서 수준

70점이상 60%

70점이상 70%

70점이상 80%

80점이상 80%

물적 요건

별도 조직 마련, 자체모형 구축, 전산화 등

 

 (전문인력) 6개은행은 전문인력 확대 노력에 집중하여 전문성 있는 전문인력을 크게 보강

 

* ’16.6월말 대비 총 24명의 전문인력이 보강 → 레벨 3의 필요요건인 15명을 상회

 

- 특히, 기존 은행직원 기술신용평가사 자격증 취득 등을 통해 기술금융 전문인력*으로 활용(3명, 우리은행)

 

* 기술신용평가사 1급 취득(1명) 또는 2년 이상의 기술평가업무경력(2명)

 

- 기술신용평가사 자격시험기술평가업무 경력 축적 등에 따라 기술금융 전문인력 육성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

 

< 6개 은행의 기술금융 전문인력 현황 >

 

산 업

신 한

우 리

하 나

기 업

국 민

외부 채용

21명

15명

14명

15명

17명

15명

자체 육성

-

-

3명

-

-

-

소 계*

21명

15명

17명

15명

17명

15명

 

(’16.상)

(21명)

(10명)

(11명)

(10명)

(14명)

(10명)

 (평가 모형) 6개 은행은 평가모형 개선노력 등을 지속하여 전문 TCB 수준에 근접한 기술평가 모형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

 

- 기술신용등급 결합비율 조정(신한), 기업규모별(외감비외감중기업) 평가모형 세분화(우리), 지표별 등급구간 재산정(국민) 등을 통해 모형 신뢰도가 크게 제고된 것으로 나타남

 

 (평가서 신뢰도) 전문인력 보강, 평가모형 개선 등으로 평가서 신뢰도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은행이 자체 작성한 평가서 품질, 평가등급 적정성 등 신뢰도 점검 결과, 6개 은행모두 양호*한 수준

 

* ’16.6말, 은행의 기술평가서 평균점수 : 83.5점 → ’16.12말 : 90.1 / + 6.6

 

- 다만, 평가서 오류 등 일부 개선사항에 대해서는 TDB 컨설팅 통해 평가서 신뢰도를 높이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

 

< 은행별 평가서 품질평가 결과 >

 

산업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70점이상

평가서 비중

80%

100%

100%

100%

100%

100%

평균 점수*

66.7

93.7

96.0

90.7

94.3

98.7

 

’16.6말 평균

(62.7)

(71.7)

(87.3)

(92.7)

(89.0)

(97.3)

* 평가서 오류 발생시 감점하는 방식으로 채점하고 70점을 기준으로 Pass/Fail

 

3.평가

기술금융 지원 규모가 크게 증가하는 등 기술금융이 확산되는 가운데 기술금융 투자를 중심으로 증가폭이 커지는 모습

 

기술금융 대출의 경우 ’16년 중 연간 25.8조원공급하여 연간 20조원의 공급목표를 초과 달성

 

* 기술금융 대출 추이(조원) : (’14)4.7 → (’15)32.6 → (’16)58.4 → (’17.1월)59.9

 

- 특히, 전체 중기대출 대비 기술금융 비중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기술금융이 점차 금융관행으로 정착되는 모습

 

* 중기대출 중 기술금융 대출 비중(%) : (15말)17.7 → (16.6말)21.4 → (16말)23.2

< 기술금융 대출 추이 (단위 : 조원) >

구 분

`14년 소계

`15년 소계

`16년 소계

 

 

’17년

1월말

`16.上

`16.下

기술금융 대출

평가액 기준

59.9

4.7

27.9

25.8

13.1

12.7

1.5

기술금융 대출

잔액 기준

96.5

8.9

51.7

32.3

16.7

15.6

3.7

 

기술금융 투자의 경우, 기술금융 펀드 본격 투자실시 및 은행의 자체 기술금융 투자 확대 노력으로,

 

- ’16.상반기 대비 70.3% 확대된 총 7,940억원투자자금 공급 (’16.6말, 4,661억원 → ’16년말 7,940억원. +3,279억원)

 

* 은행 자체투자 : (’16.6말) 3,098억원 → (’16.12말) 5,275억원기술금융 펀드 투자 : (’16.6말) 1,563억원 → (’16.12말) 2,665억원

 

다만, TECH 평가에 있어 기 공급실적이 반영된 평가*로 은행권 순위고착화가 지속되고 있어 후발은행의 노력을 유인하는데 한계

 

* 전체 평가 38%가 과거 기술금융 실적에 영향 → 은행권 순위 고착화의 주요 요인

 

ㅇ 금융위는 “기술금융 실적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17년TECH 평가 시부터 과거 기술금융 실적 제외를 추진하고,

 

우수 기술기업 지원시 TECH 평가에서 좋은 점수가 나오도록 우수 기술기업 배점 2배(10점 → 20점)로 확대하며 우수 기술기업3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기술금융 지원기능을 강화

 

* ⅰ)저신용 기술기업, ⅱ)고성장 기업, ⅲ)미래 신성장 영위 기업

 

은행자체 기술금융 실시 수준확대(레벨2 → 레벨3)등과 함께 은행의 기술평가 능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ㅇ 전문인력 확충, 자체 평가모형 고도화 등 은행권의 기술금융 관련 인프라구축되고 여신관행으로 점차 정착

 

향후 외부 TCB 평가은행 자체 평가신용기술평가 일원화의 과정을 통해 기술금융이 中企 여신시스템에 내재화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가고 있다는 평가

 

4.향후계획

□ 금융위는 기술금융을 금융시스템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기술금융 2단계 발전 로드맵(’17.1.17.)을 착실히 추진해나갈 예정

 

은행의 여신심사 모형과 기술금융의 기술신용등급을 통합하기 위한 신용기술평가 일원화 TF* 구성

 

* (TCBTDB) 나이스 평가정보, KED, 이크레더블, 나이스디앤비, TDB(은행) 국민, 기업, 농협, 우리, 신한, 하나 등

 

ㅇ 일원화를 위한 TCB사별, 은행별 데이터를 수집분석 중이며 TF 추진 일정*에 따라 단계별 이행전략을 마련할 계획

 

* (1/4분기) 기술금융 지표 유의성 분석(기술평가 지표가 기업 부도율에 미치는 영향)(2/4분기) 통합 여신모형 마련, 기술평가 전문인력, 평가서 개선방안 등

 

<금융 용어 설명>

TDB(Tech DataBase) : 기술신용평가에 필요한 기술시장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TCB(Tech Credit Bureau) : 기업이 보유한 기술정보와 신용정보를 결합평가하여 기술신용등급 산출조회제공

 

* 현재 기술보증기금, 나이스평가정보, KED, 이크레더블, 나이스디앤비가 TCB 수행중

 

첨부파일 (2)첨부파일 열림
(보도자료)17-02_16년 하반기 TECH_평가_결과.hwp (205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보도자료)17-02_16년 하반기 TECH_평가_결과-hwp.pdf (440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