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IT기반 융합 新산업 육성, 글로벌 진출 베이스캠프
2015-03-30 조회수 : 7537
담당부서전자금융과 담당자송현지 사무관 연락처2156-9490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

□ 3.30(월)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경기센터)가 전국에서 여덟 번째로 출범

 ㅇ 경기센터(센터장: 임덕래)는 판교 테크노밸리에 총 1,620m2(약 490평) 규모로 조성되며, 경기도가 보유한 연구개발과 첨단산업 역량*을 지역 경제의 활성화로 연결하는 창조경제 혁신거점으로 역할 기대

   * 경기도는 국내총생산 32.4%, 전국 제조업체의 28.7%(1위)가 위치한 산업생산 전진기지로 8천여 연구기관, 연구인력의 35%가 집중된 연구개발 중심의 기업이 집적

□ 경기센터는 △ IT 융합 신산업 창출의 거점 △ 전국 혁신센터와 해외투자자를 연결하는 창업?벤처기업 글로벌 진출의 중심으로,

 ㅇ IT·SW 대기업들과 지원기관, 대학과 연구기관들이 융합 신산업 분야 기술벤처 창업을 지원하고 세계로 뻗어가는 허브 역할(붙임1)

[ 주요 기능 ]

 IT 융합 新산업 창출의 거점

① (IT+문화) 차세대 글로벌 히트(Hit) 게임 육성

 ㅇ 세계 게임시장은 ‘온라인→모바일→가상현실’ 등 차세대 게임으로 진화
 
   - 세계 온라인 게임시장의 53.2%를 중국이 차지한 반면, 국내 게임시장은 마이너스 성장(‘13년 9조7천억원, 전년대비 0.3% 감)

 ㅇ 판교의 IT?게임 산업기반*을 활용하여 세계적 게임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도록 지원(붙임3)

     * 우리나라 전체 IT업체의 48%가 경기도에 소재, 상장 게임 기업 전체 매출의 85%, 수출의 71%를 판교 소재 게임 기업이 점유

    - 게임 공모→ 개발 및 검증 → 투자유치 → 출시에 이르는 全과정을 게임대기업 및 지원기관, 문화창조융합센터와 연계 지원(붙임4)

 
  기획 : 문화창조융합센터(미디어라이브러리)의 DB를 활용하여 게임스토리 창작 및 저작관련 멘토링 지원
   - R&D 지원 : 게임개발자와의 기술벤처가 협업하에 차세대게임을 개발할 수 있도록  SW융합클러스터 R&D사업과 연계하여 지원 

  멘토링 : 판교내 게임 대기업, 지원기관* 문화창조융합센터가 참여하여 전문 멘토단(20여명)을 구성, 게임스타트업들과 정기적인 교류 및 컨설팅 제공

  * 넥슨, 엔씨소프트, 네오위즈, 스마일게이트 및 글로벌게임허브센터, 판교SW융합클러스터 등

  개발 및 검증 : 게임SW랩*을 구축하여 개발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개발된 게임 등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모바일랩 설치**
1
   * 게임SW랩 : 그래픽, 사운드 등 리소스, 게임개발 엔진, 프로그램 등 SW 개발툴 지원
  ** 모바일랩 : 단말기, 패드, 웨어러블 기어, 삼성 기어 VR 등 지원

  투자유치 : G-얼라이언스 VC 등이 참여한 데모데이 개최 지원

  출시 : 글로벌게임허브센터와 연계하여 글로벌마케팅 지원 및 국제적인 게임전시회(지스타, 차이나조이 등) 참여


 ㅇ 게임 개발을 위한 게임SW랩(붙임5)

    - 게임 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쉽게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게임 개발 소프트웨어, 그래픽 툴, 개발 엔진 등을 구매 또는 개발자, 유관기관* 등에게 제공받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

     *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벌게임허브센터, 모바일게임센터 등

 ㅇ 모바일랩 구축

    - 게임 SW랩 등에서 제작한 게임을 실제 유통망 환경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게임 개발 테스트환경 제공

    - 웨어러블 기기(삼성 기어 VR 등), 단말기(스마트 폰, 스마트 TV), 네트워크(기가인터넷 등) 등을 구비하고 개발된 게임의 자유로운 시연을 통해 문제점 도출 및 개선
 ㅇ 재도전 프로그램

  - 시장 출시 후 마케팅, 자금 지원 등에 실패한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재도전 지원

  - 게임 대기업, 은퇴 개발자, 유관기관* 등의 멘토링 지원
1.     * 글로벌게임허브센터,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등

2.
  - 글로벌게임허브센터와 연계하여 캐릭터, 디자인, 스토리 등을 목표시장에 맞게 리뉴얼 지원

  - KT 올레마켓, 공공의 해외 퍼블리싱 지원 사업 등과 연계하여 국내외 마케팅, 맞춤형 번역 등 지원


② (IT+금융) 혁신적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
3.
 ㅇ 전세계적으로 핀테크 트렌드가 확산되며, 핀테크를 금융산업 新성장동력으로 육성하려는 주요국의 노력이 지속되는 상황

  - 전세계 핀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규모는 ’08년 1.02조원에서 ’13년 3.26조원으로 3배 이상 증가

  - 영국의 경우, 정부가 ‘14.8월 핀테크 산업 육성정책을 발표하였으며, 핀테크 산업 투자규모도 연평균 50% 이상 급증하는 모습
4.
 ㅇ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핀테크 관련 금융규제의 종합적 개선 및 핀테크 생태계 조성을 통해 핀테크 산업을 적극 육성할 계획
5.
 ㅇ 핀테크 생태계 조성의 첫 단계로써, 금융회사, ICT기업, 전산유관기관, 정부의 자원과 역량을 결집한 ‘핀테크 지원센터’를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 內 구축,

  - 혁신적인 핀테크 “아이디어가 상용화되기까지” 성장단계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붙임6)

  은행(기업 등 7개사), 카드(BC 등 4개사), 전산유관기관(코스콤 등 2개사) 등 13개 기관과 금감원이 연계하여 전문멘토단(4명)을 구성, 지원센터에 상주하면서 상시 상담

 - 예비창업자에게는 핀테크 아이디어의 금융 접목가능성·사업성·시장성 등에 관해 상담* 제공

  * 금감원 내 ?핀테크 상담센터? 직원이 센터 개소 초기 상시 근무하며 ‘전자금융업자 등록 등 금융업 관련 행정 절차’ 상담 등을 병행 지원
 
  성장 잠재력이 있는 스타트업에게는 월 1회 Demo-day 개최를 거쳐 금융회사와 일대일로 멘토링 받을 수 있도록 연계하고 기술자문도 제공
 
  센터 내 다른 존과 연계하여 창업기업의 공통적 애로인 자금조달*·법률·특허 상담까지 원스톱으로 제공

   * 멘토링을 수료한 핀테크 사업자에 대해서는 파이낸스존 등과 연계하여 산은·기은의 핀테크 기업 자금지원 시 우선 지원 추진
 
  핀테크 기업 상품과 금융사의 수요간 매칭서비스 제공*을 통한 판로개척 지원

  * 금융사와 핀테크기업 사이의 수요-공급을 연계하기 위한 DB구축(‘15년 상반기) 완료 후 개시 


 ㅇ 핀테크 스타트업의 성장 촉진을 위해 핀테크 분야 핵심기술 연구 개발 지원

       * (예) 금융결제, 보안 기술 및 빅데이터 기술 개발 등

③ (IT+BT) 헬스케어/보육분야 특화 IoT 창업?성장 촉진

 ㅇ 건강/보육분야 IoT 관련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선발하여 병원, 기업등과 연계하여 멘토링 제공, 개발·테스트 환경 및 판로개척 지원


  공모 : 건강/보육분야 IoT 창업에 관심있는 기업과 공대생을 대상으로 공모·선발 (5팀 내외)

  매칭 : 분야별로 구성된 멘토그룹* 중에서 선발기업이 희망하는 멘토기관과 1:1 매칭을 통해 밀착 컨설팅 지원

   * 병원(연세대의료원, 분당서울대병원), 기업(KT, KT텔레캅, 후헬스케어, MS,오라클),  지원기관(한국바이오협회,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육성 : 시제품을 제작하고 성능테스트 및 호환성 점검 등이 가능한‘IoT랩’ 설치하여 운영
  - 오라클, MS와 같은 IoT 선도기업과 연계하여 ‘글로벌 IoT 존’을 구축하고 IoT 관련 기술상담, 교육 기회도 제공
 
  투자유치 : G-얼라이언스 소속 VC 등과 연계를 통한 데모데이 지원

  판로개척 : 올레샵 등 KT 인프라와 경기수출전시회(G-FAIR) 등을 활용, 국내외 진출 지원


ㅇ IoT 기반 건강/보육분야  시범사업
 - 청소년 비만관리 :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활동량을 모니터링하여 맞춤형 운동 및 식이 프로그램을 제공(붙임7)

     ※ ’15년 하반기 분당?판교지역 고등학교(10개교) 시범적용


 - 안심보육 : 차량관제?CCTV?웨어러블 단말기 등을 통해 어린이의 위치 및 안전 상태 등 실시간 확인(붙임8)

     ※ 15년 6월부터 판교내 10여개 국공립 어린이집 대상으로 시범적용


 창조경제 글로벌 진출 허브

 ㅇ 해외투자자·글로벌 기업 등과 혁신센터를 연결하는 온-오프 플랫폼 구축

  - 전국 17개 혁신센터의 유망 벤처기업 정보 등을 DB화하여 공유하고, 해외투자자,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등에게 매칭 서비스 제공(붙임9)


  DB 구축·공유 : 센터별 특화산업, 입주 중인 스타트업, 진출 희망 국가 및 상품/서비스 내용 등을 집적*하고 홈페이지 구축
   * DB명 : Global Start-up Library
  - 해외VC들이 현지에서 국내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창업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영문 서비스 제공
  상담 창구 : 글로벌 상담데스크를 설치하고 외국어 실력을 겸비한 전문코디네이터가 상주하여 센터를 방문한 해외투자자 등에게 센터의 유망벤처 안내

       * (가칭) 글로벌 스타트업 매칭 서비스 (DB 구축후 시행 : ‘15년 하반기)
  글로벌 멘토링 : 글로벌 미팅룸과 화상회의시스템을 설치하고 유명 액셀러레이터와 연계하여 스타트업과 정기적으로 만날 수 있는  ‘화상 멘토링‘ 운영(분기별)
 -  해외네트워크 연결 기관들이 참여하는 ‘원격 데모데이’ 개최(반기별)

 

ㅇ 해외 창업지원기관 및 투자자, 전국 혁신센터 및 대기업 등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종합 연계하여 중소·벤처의 글로벌 진출 지원

  - 브랜드 파워가 있는 해외 액셀러레이터, VC 등과 연계


  경기센터와 KT는 Catapult(英), Wayra(스페인), 오렌지팹(프랑스) 등 3개 액셀러레이터, Formation8(美) 등 3개 벤처캐피탈과 제휴·협력*  [G-얼라이언스] (붙임10)


  * 年 3개팀 이내의 스타트업 공동발굴 및 교류, 액셀러레이팅 등 협력 MOU 체결 
  전국 혁신센터와 공공기관 등 글로벌 네트워크를 연계하여 중소·벤처의 해외 진출 지원* (경기센터는 ‘글로벌 진출’ 사무지원) (붙임11)

 * (예) 대전센터(북미 위주 거점) 소재 중소기업이 영국 진출을 희망하는 경우 경기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경기센터(유럽 위주 거점) 소재 중소기업이 북미 진출을 희망하는 경우 대전센터 네트워크 활용

 ※ 특히 대통령 중동순방시 SK-사우디텔레콤간 체결한 ‘사우디 혁신센터(중동거점)’ 등 혁신센터 참여기업이 추진하여 설립하는 해외거점과도 연계 확대


 ㅇ 창조경제혁신센터 공동 브랜드화(추후 확정)하여 해외 전시회 참여 및 현지 데모데이 개최(붙임12)

   - 전국 혁신센터협의회 주관으로 전시회 당 5개팀을 선정하여 MWC상하이(7월) 참여 후 세계가전박람회(CES 라스베가스, 1월) 등으로 확대

   - 연 2회 우수 중소?벤처기업을 선발하여 해외 현지 기업 설명회 개최

     * 제1회는 KT를 중심으로 전국의 IoT, 게임 분야의 우수 중소?벤처기업 대상 추진, 제2회는 분야 제한없이 전국의 창업 지원기관 대상 10여개 팀을 모집하여 추진

 ㅇ 창조경제박람회와 연계하여 전국 혁신센터 공동으로 ‘글로벌 투자박람회‘ 개최(붙임13)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

 ㅇ ‘오픈 이노베이션 랩’구축⋅운영 (‘15년말)

  -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개발을 위해 단말, 중계기 등 관련 시설을 글로벌 통신장비 대기업과 연계하여 구축*

   * ‘15년 말 (가칭)창조경제밸리센터 완공 시, 경기혁신센터 ‘오픈 이노베이션 랩’  설치
 
   <오픈 이노베이션 랩 시설(예) >

구 분
시설 장비
무선 실험 환경
차폐실, 전원설비, 계측기, 회선시설 및 내부망 구축 등
무선기술
Prototype 장비
차세대이동통신미리미터파 RU 장비, Massive MIMO 안테나, DU 장비 등
※ RU : Radio Unit, DU : Digital Unit

 

 ㅇ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응용서비스 스타트업 육성 (‘16년 하반기)

  - 모바일 입체영상 등 차세대 이동통신 응용서비스 분야‘창업 공모전’을 개최하고 선발팀에게는 사업화 자금, 교육, 기술상담 등 제공 


 중소·벤처기업 투·융자 총 1,050억원 조성

 ① 게임, 핀테크, IoT 분야 중점 투자 펀드 : 총 350억원

    * KT그룹 100억원, 중기청 모태펀드 180억원, 기타 투자자 및 금융기관 70억원
 
 ② 유망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경기도 투자펀드 : 총 200억원

 ③ (기술·신용)보증기금 연계 융자 지원 : 총 500억원
 

   * KT가 (기술·신용)보증기금에 50억원을 출자하여 총 500억원 한도 내에서 저리대출 지원

  ※ 이와 별도로 KT가 기 투자한 해외 펀드(펀드규모 총 2,000억원)를 활용하여 국내 유망 스타트업들이 투자받을 수 있도록 연계 지원
 

 경기센터는 총 89개 정부기관 및 지원기관, 경기지역내 중소·벤처기업,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등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첨부파일 (1)첨부파일 열림
(금융위)보도자료_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hwp (3 M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