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참고] 한국 19년 핀테크 도입 지수 67%(17년 32%)로 상승
2019-06-18 조회수 : 4633
담당부서금융혁신과 담당자양병권 사무관 연락처02-2100-2535

 

■ 우리나라의 핀테크 도입 지수(Fintech Adoption Index)는‘17년 32%에서‘19년 67%로 큰 폭 상승 (싱가폴, 홍콩 등과 동일)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EY(Ernst & Young)가 ‘15년부터 2년마다 조사


■ 분야별로는 송금·지급결제 분야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소비자들은 저렴한 수수료를 핀테크 서비스 선택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

 

1. 핀테크 도입 지수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EY(Ernst & Young) ‘15년부터 격년별 핀테크 도입 지수*를 조사 중이며, 최근 ‘19년 보고서 발간**

 

      * 조사대상 중 최근 6개월간 2개 이상의 핀테크 서비스를 이용한 비율

    ** ‘15년 6개국 1만명, ’17년 20개국 2.2만명, ‘19년 27개국 2.7만명으로 조사대상 확대 중

 

 우리나라 ‘19 67% ‘17 32% 대비 2배 이상 상승하여 싱가포르, 홍콩 등과 동일하며, 핀테크 선진국인 영국(71%)과 유사한 수준

 

 중국, 인도 등 신흥국 핀테크 도입 지수가 높은 반면, 미국, 일본 등 전통적으로 금융이 성숙한 국가에서는 핀테크 도입 지수가 낮은 편

 

<국가별 핀테크 도입 지수(Ernst & Young)>

국가별 핀테크 도입 지수

 ‘15년에는 6개국에 대해서만 조사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7년부터 조사


2. 핀테크 분야별 인지도 및 이용률

 

 핀테크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는 송금·지급결제(96%), 보험(86%), 투자(78%), 대출(76%)  대부분의 분야에서 높은 수준이,

 

 특히, 송금·지급결제 분야는 글로벌 소비자의 96%가 인지하고 있으며, 이미 4명중 3명이 이용하고 있는 등 핀테크 분야 중 가장 활성화

 

    * 한편, ‘19년에는 보험 분야의 이용률이 크게 증가(’15년 8% → ‘17년 24% → ’19년 48%)

 

3. 소비자 선호

 

 소비자들은 저렴한 수수료(27%)를 핀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로 생각했으며,

 

 온라인() 통합조회 서비스  지점(비대면) 금융서비스 등을 선호

 

 한편, 다수 소비자들은 핀테크 이용시 개인정보 보안 우려도 제기

 

 68%의 소비자들은 혁신적 기술을 기반으로 금융서비스 상품을 개발하는 금융회사의 핀테크 서비스를 사용할 의사를 보임

 

4. 시사점

 

 (금융산업) 핀테크는 그동안 정책적 노력 및 기술 발전과 더불어 꾸준히 발전하면서 이제는 금융산업의 트렌드로 굳어지는 상황

 

 핀테크 혁신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금융서비스의 새로운 표준으로 등장 (EY는 핀테크기업이 전 세계적 영향력을 가진 경쟁자로 성장했다고 평가)

 

 (정부정책) 핀테크 생태계에 우호적인 환경 조성을 넘어, 금융소비자 편익 제고, 글로벌 핀테크 유니콘 육성 등을 위한 핀테크 스케일업(scale-up) 차원의 본격적 정책 지원* 필요

 

    * 전략적 맞춤형 규제완화, 핀테크 투자 활성화, 핀테크 해외진출 지원 등

 

 

첨부파일 (2)첨부파일 열림
(보도참고자료)_2019 핀테크 도입 지수.hwp (240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보도참고자료)_2019 핀테크 도입 지수.pdf (198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