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 FATF 총회 참석 및 한국의 FATF 제3차 라운드 상호평가 졸업
2014-06-25 조회수 : 5253
담당부서금융정보분석원 기획행정실 담당자이귀웅 팀장 연락처2156-9411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14.6.25.(수) FATF* 총회(25.(수)~27.(금), 프랑스 파리)에서 자금세탁방지 국제기구(FATF) 부의장을 수임하고, 우리나라가 제3차 라운드 상호평가를 졸업하였음

 

* FATF자금세탁방지분야 최고 기구로서 36개 회원으로 운영 (상세내용 붙임 참조)

 

1

FATF (자금세탁방지 국제기구) 의장국 (직) 수임

 

FATF는 지난 2월 한국을 제27기(’15.7.~’16.6.) FATF 의장국으로 선임하고 신제윤 금융위원장을 의장으로 지명한 바 있으며

 

신제윤 위원장은 FATF 규칙에 따라 1년간 부의장(’14.7.~’15.6.)으로서 업무를 수행하고,

 

15년7월부터 1년간 의장으로서 FATF를 대표하고, 총회 및 운위원회 회의 주재, 사무국 감독, 중요 사항 결정 등을 수행

 

* FATF 의장,부의장의 직무 상세내용은 붙임 3 참조

 

신 위원장은 6.25.(수) 총회에서 세계 공동체가 범죄와 테러가 없는 안전한 사회로 발전할 때까지 FATF의 도전과 노력은 계속될 것이며,

 

 

금융분야, 특히 국제업무의 경험을 바탕으로 FATF 부의장과 의장 업무를 성실히 수행할 의향을 밝혔음

 

의장국 수임은 국제규범 제·개정 시 우리의 입장반영하고 FATF 내 입지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며,

 

* FATF 의장실무회의 의장(국)은 통상 주요 선진국들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등)독점해 왔으나, 의장국 수임으로 한국이 3년 동안 ('14. 7.∼'17. 6.) FATF 운영위원으로서 FATF 논의 의제 설정, 세계의 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금지 정책방향 등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

 

ㅇ ‘자금세탁방지분야에서 미국·유럽 등 중심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음을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

 

2

우리나라의 FATF 제3차 라운드 상호평가 졸업

 

□ 우리나라는 같은 날 FATF 총회에서 FATF 제3차 라운드 상호평가 과정을 완전하게 졸업하였음

 

이는 한국이 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금지 국제기준 이행체제 완성하였음을 FATF가 공인한 것으로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자금세탁방지 선진국으로 인정받게 되었음을 의미함

 

우리나라는 ’09년 상호평가 당시 고객확인제도, 자금세탁 의심거래보고, 테러자금조달 금지제도 등 16개 핵심,주요 권고사항 중 9개에서 미이행 평가를 받았으나,

 

 

지난 5월 특정금융거래보고법과 공중협박자금조달금지법 개정 등 3~4년간의 입법과 금융회사 등의 적극적인 제도참여를 통해 이행 등급을 인정받게 된 것임 (상세내용 붙임 4 참조)

 

 

3

향후 계획

 

앞으로 정부는 명실상부한 규칙 제정자 (rule setter)로서 FATF 등 국제기구의 국제규범 제개정 등 국제논의주도하고,

 

자금세탁방지 분야의 세계적 선도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를 위한 자금세탁방지 분야 국제업무 역량 확충도 추진)

 

아?태 지역의 자금세탁방지 분야 선도국으로서 역내 개도국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ㅇ ’16년으로 예상되는 FATF 제4차 라운드 상호평가에도 개정된 국제기준에 맞춰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음

 

아?태 지역에서는 한국이 자금세탁방지 부문 선도국가로 이미 확고히 자리매김

 

지난해부터 FATF 新국제기준 이해 및 상호평가 수검 전략에 관한 APG 워크숍* 개최하는 한편, 우리의 FIU 시스템 구축경험을 후발국들과 공유하는 파트너십 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등 아태 지역의 자금세탁방지 이행을 선도

 

 [APG 워크숍] ’13년 31개국 134명 참가, ’14년 27개국 114명 참가

 [파트너십 강화 프로그램] ’13년 8개국 29명 참가, ’14년 11개국 38명 참가

 

< 붙임 > 1. 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 개요

2. FATF 및 FSRB(지역기구) 회원국 현황

3. FATF 의장,부의장의 직무

4. FATF 제3차 라운드 상호평가 시스템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1)첨부파일 열림
140625-보도자료_FATF_총회_참석_및_한국의_후속조치_졸업.hwp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