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은행권 사잇돌 중금리 대출 현황 및 향후 계획
2016-08-17 조회수 : 7687
담당부서중소금융과 담당자김성진 사무관 연락처2100-2991

9개 은행(6000여개 지점)은 7.5~8.16일(30영업일)총 5,795명에 대해 606.9억원 규모의 사잇돌 대출 지원

 

ㅇ 그간 중신용 서민층 지원 확대 위하여 지원기준 합리화, 실수요자 적극 발굴 운용개선 노력 지속

 

◈ 추가로, 9.1일(목)부터 4개 지방은행(828개 지점)에서도 ‘사잇돌중금리 대출 공급 예정

 

지방은행지역경제구조·소득수준 등의 특성을 감안하여, 지역 중신용자 포용에 중점을 두고 상품 운용계획

 

지방은행의 참여은행 사잇돌 대출 전국 판매망이 구축됨으로써, 중신용자금융접근성대폭 제고될 것으로 기대

 

1.동향

※ 사잇돌 대출 지원동향(’16.7.21일 보도자료 등)을 업데이트한 내용임

 

(개황) 7.5~8.16일간(30영업일) 9개 은행에서 총 5,795건(606.9억원) 지원

 

 제도 도입 초기임에도 일평균 193건(20.2억원) 수준으로 꾸준히 지원되는 등 비교적 빠르게 안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계절효과(여름휴가)로 출시 첫 2주간 추이(264건, 27억원) 대비 다소 감소

(대출특성) 1인당 평균 대출액 1,047만원이고, 대출 금리6~8%대 78.0%, 상환기간74.4% 5년 분할상환 선택

 

판매채널별로는 오프라인(지점창구) 4,012건(81.4%), 온라인이 907건(18.6%)으로 나타남

 

(신용도·소득) 대출자 신용등급 4~7등급자가 대출건의 77.5%, 연소득 2~4천만원대 중위소득자가 72.8% 차지

 

< 소득수준별 대출 비중>

 

0~2천만

2~3천만

3~4천만

4~5천만

5천만~

대출건수

423

1,889

1,431

901

1,151

5,795

비중

7.3%

32.6%

24.7%

15.5%

19.9%

100%

 

소득원별로는 근로소득자75.6%(4,381건), 사업소득자23.0%(1,334건), 연금소득자1.4%(80건)

 

(연령 등) 애주기 특성상 경제활동활발하고 자금수요 많은 30~40대 대출자가 상당수(68.1%)를 차지

 

ㅇ 다만, 재직기간 기준으로 사회초년생(2년 이하, 31.0%)부터 장기 근속자(5년 이상, 37.8%)까지 다양하게 포용하는 모습

 

2.그간의 노력

 

7월 출시 후, 은행권중신용 서민충의 금융부담 경감을 위해 지원기준 합리화, 실수요 발굴 운용개선 노력 지속

 

 (지원기준 합리화) 그간 사잇돌 대출 실적을 토대로 파악된 중신용자 특성 반영하여, 세부 지원기준 등을 합리화

 

* 당초 도입취지에 따라, 기존 은행상품 대비 높은 사잇돌 대출의 금리대(6~10%) 부합하는 중신용자를 최대한 포섭하려는 노력을 지속

 

< 은행별 지원기준 개선 사례 >

 

 

 

(i) 기존 은행고객 대비 신청자의 제2금융권 대출이 많은 경향을 감안, 종전 상품과 달리 복수의 제2금융권 대출이 있더라도 신청자의 상환능력에 따라 지원 가능하도록 기준 변경

 

(ii) 종전 은행 내부신용등급 기준으로는 중신용자 신용도적정하게 반영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 자체 개발한 중신용자 전용평가 모형을 개발·적용

 

 (실수요자 발굴) 사잇돌 대출을 통해 이자부담 경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실수요자적극적으로 발굴·연계

 

< 실수요 발굴 사례 >

 

 

 

(i) 타대출 상담자 중에서도 카드론 등 고금리 이용 중인 고객 등에게잇돌 대출 소개 → 이자부담 경감을 요하는 실수요자 적극 발굴

 

(ii) 거래고객 중신용자 등 잠재 수요자에 대한 이메일 발송유선 상담 → 실수요자를 집중 타겟으로 한 정보제공 확대

 

 (절차 개선) 근로자 대출절차 진행많은 시간을 내기 어려운 분들을 감안하여, 가급적 절차간소화

 

< 절차 개선 사례 >

 

 

 

(i) 비대면 모바일 대출시, 국민연금 납입기록 등 재직여부전산으로 확인되는 경우, 별도의 유선확인 절차 생략

 

(ii) 모바일 채널을 활용하는 은행들도 확산 추세

* 모바일 채널 활용 은행 : 신한, 우리 → 전북 (하나, IBK 검토 단계)

 

 앞으로도 중신용 서민층에 대한 원활한 지원 방안을 지속 모색

 

3.출시계획

(개요) 9.1일부터 9개 은행에 이어 4개 지방은행(부산, 광주, 대구, 경남) 전국 828개 지점에서도 사잇돌 대출추가 출시

   지역 영업기반을 둔* 지방은행 본격적 참여로, 은행권 사잇돌 대출의 전국 판매망확충되고, 중신용 서민층 금융 접근성 대폭 제고될 것으로 기대

 

* 은행별 지방 지점망(‘16.7말) : (부산은행) 266개소 (대구은행) 255개소 (광주은행) 138개소 (경남은행) 169개소

 

* 旣출시 지방은행도 현재까지 150억원을 지원하는 등 지역 금융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는 상황

 

(상품구조) 대체적으로 소득기준요건*, 대출한도, 대출기간**기존 은행권 사잇돌 대출과 유사

 

* 연환산 근로소득 2,000만원 이상, 사업·연금소득 1,200만원 이상

* 상환능력에 따라 1인당 최대 2,000만원 이내, 상환기간 5년 이내

 

금리 수준보험료 + 은행 수취분” 포함 6~12%대 예상

 

- (보증료) 1.8%~5.3% 수준(기존 은행 사잇돌과 동일)

 

- (은행 수취분) 조달원가, 업무비용 등 감안, 은행별 자율 결정

 

 다만, 지방은행지역경제 구조·소득수준* 등을 감안한 타겟 고객군 모색 등 시중은행에 비해 더 많은 지역 중신용자를 포용할 수 있도록 상품을 운용계획

 

* (지역별 소득, ‘14년 통계청) 서울 3,811만원 ↔ 경북 2,861만원, 전남 2,749만원

 

(신청방법) 4개 지방은행 828개 지점을 통해 대출신청 가능

 

부산은행의 경우 모바일 채널을 통한 대출 가능 [☞ 참고]

 

※ 한편, 저축은행 사잇돌 대출 관련 세부사항은 금융권 협의 등을 거쳐 8월말 별도 발표 예정

첨부파일 (2)첨부파일 열림
보도자료_은행권 사잇돌 중금리 대출 현황 및 향후 계획.hwp (256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보도자료_은행권 사잇돌 중금리 대출 현황 및 향후 계획.pdf (1 M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