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참고] 최종구 금융위원장, 조선·해운업 전문가 간담회 개최,“수주 회복에도 불구하고 조선업 구조조정 지속 및 「조선-해운-금융」의 상생 방안 모색해야”
2018-05-15 조회수 : 6548
담당부서기업구조개선과 담당자윤현철 사무관 연락처02-2100-2921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5월 14일(월) 조선업 전문가 간담회개최하여, 최근 글로벌 및 국내 조선업 시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였음

 

<간담회 개요>

 

◇ 일시 / 장소 : ‘17.5.14(월) 14:30~16:00 / 금융위원회 회의실

 

◇ 민간 전문가 : 최재성 Clarkson Korea 대표, 박유상 산업은행 리서치센터 부부장양종서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박사,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 이영규 나이스 신용평가 연구원, 권오윤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장이환구 한국해운연합 간사 등 (총 7명)

 

간담회 참석자들에 따르면, 글로벌 발주량‘16년 수주절벽 충격에서 벗어나 회복기조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국내 수주량도 ’17년부터 개선되는 모습

 

* 글로벌 발주량(신조선박) :

 

‘17년

(전년대비 증감)

‘18.4월

(전년대비 증감)

발주량(만CGT)

2,612

+91%

773

+42%

금액(억불)

642

+71%

166

+30%

 

* 한국 수주량 :

 

‘17년

(전년대비 증감)

‘18.4월

(전년대비 증감)

수주량(만CGT)

721

+226%

323

+96%

금액(억불)

163

+266%

58

+62%

특히, 국내 대형조선사 주력선종(VLCC, LNGC 등)의 회복폭이 커서 한국의 수주점유율이 크게 상승*

 

* 수주점유율(%)

 

한국

중국

일본

기타

‘16년

16.2

36.9

16.1

30.8

‘17년

27.6

41.5

8.9

22.0

‘18.4월

41.8

33.9

11.3

13.0

 

향후 유가 상승으로 국내조선사가 비교우위에 있는 연비효율성이 높은 선박의 발주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해양플랜트 발주 재개 움직임도 존재

 

IMO(국제해사기구)의 환경규제*에 따른 친환경 선박의 수요 증가 및 선박의 스마트化 중장기 기회요인으로 작용 가능

 

* (평형수 처리장치) ’19.9월 장착 의무화, (SOx) '15년 3.5% → '20년 0.5%,

 

참석자들은 그동안의 지속적인 구조조정으로, 국내 조선업계의 생산능력(capacity)이 적정 수준으로 효율화되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하며,

 

중국, 싱가폴 등 경쟁국의 추격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형조선사 등은 연비효율성, 품질, 기술 등의 측면에서 근원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지적

 

□ 다만, 강재가 인상, 환율 하락 등 위협요인이 상존하고 있으며, ’16년 수주절벽의 영향으로 현재 건조량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최근의 수주회복이 실제 건조로 이어지는 향후 1~2년간 구조조정 노력을 지속하며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한다고 강조

 

금융위는 이번 간담회에서 제시된 의견들을 바탕으로, 관계부처 및 정책금융기관들과 함께 조선·해운업 발전 방안을 지속 마련 나갈 예정임

 

대우조선·현대상선 등의 구조조정 진행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근원적인 경쟁력 확보 방안을 모색

 

ㅇ 수주 회복에 따라 조선업 관련 금융지원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R/G 및 제작금융 지원 등을 위한 방안 마련

 

해양진흥공사 출범 등에 대응하여 「조선-해운-금융」의 상생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금융의 역할 강화 등

 

※ 별첨 : 조선업 동향과 전망*

 

* 민간 전문가의 의견으로 금융위원회의 정책방향과는 무관함을 말씀드림

첨부파일 (3)첨부파일 열림
180514_보도자료_조선해운업 전문가 간담회3.hwp (208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180514_보도자료_조선해운업 전문가 간담회3.pdf (332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180514 조선업 동향과 전망.pdf (2 M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