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금융교육 온라인 포털 시스템」구축 추진
2012-12-14 조회수 : 8677
담당부서금융위원회 금융소비자과 담당자조문희 사무관 연락처2156-9774
담당부서금융위원회 금융소비자과 담당자 이수한 금융교육기획팀장 연락처2156-9774


1 개   요


 □ 금융위․금감원은 금융교육이 소비자보호의 핵심 기반임을 감안하여 공급자 시각이 아닌 금융소비자 관점에서 필요한 정책과제를 발굴․추진하는 등 금융교육을 강화할 예정

 

 □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주요 금융교육기관들과 합동으로 「금융교육 온라인 포털 시스템」구축을 추진

 

    ※ 그간 개별 금융교육기관별로 온라인 금융교육 정보가 제공되면서, 소비자는 원하는 정보와 콘텐츠를 찾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등 불편 초래 

 

  ㅇ 동 포털은 소비자가 ‘한 번의 방문으로 원하는 교육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으로서 금융교육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사이버공간상의 관문으로 기능

 

    ※ 개인의 자산․부채 수준 및 결혼․퇴직 등 생애주기에 따른 쌍방향 온라인 컨설팅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실질적 도움을 주도록 할 예정

 

 □ 이외에도 공적 금융상담서비스(금융멘토), 금융교육 표준교재 보급 등 다각적인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마련․시행할 것임

 

 

2 추진 과제


가. 금융교육기관 공동의 “금융교육 원스톱 포털” 구축

 

 □ 14개 금융교육기관으로 구성된 금융교육협의회 공동으로 금융교육 포털 시스템을 구축

 

 ※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신용회복위원회,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한국투자자보호재단,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생보협회, 손보협회, 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신협중앙회

 

 □ 동 포털은 금융교육기관들이 제공하는 우수 교육 프로그램을 모두 망라하여 제공하는 매트릭스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ㅇ 금융소비자는 학생, 직장인, 은퇴자 등 자신이 속한 집단계층 및 목적(투자, 부채 관리 등)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에 접근 가능

 
 □ 포털은 컨텐츠 개발 일정을 감안하여 2단계로 추진하되, 1단계(금융교육 온라인 플랫폼)는 2013년 상반기 중 완료하고 2단계(생애주기형 온라인 컨설팅)는 2013년 하반기 중 구축 예정

 

  ㅇ 또한, 금융교육협의회내에 포털 시스템 운영반을 구성하여 주기적(예시 : 1개월)으로 자료 업데이트 및 피드백을 강화할 것임

 

 1단계 : 금융교육 온라인 플랫폼 구축

 
 󰊱 현행 금융교육기관들의 제공하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가장 유용한 우수사례(best practice)를 선정․제공

 

 󰊲 소비자는 각자의 교육수요에 부합하는 핵심 콘텐츠에 쉽게 접근하는 방식 구현

 

    * (예시) 아동: 아동 메뉴를 클릭 시 ①용돈기입장 작성하기, ②은행통장 만들기, ③저축하는 습관 갖기 등이 나타나며, 관련 개념을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을 통해 배울 수 있고, 추가적 교육을 원하면 금감원 또는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등의 홈페이지로 이동


          직장인: 직장인 메뉴에 접속하며 ①금융상품 비교공시, ②펀드 투자시 주의사항, ③결혼·노후 자금 대비를 위한 자산관리요령 등이 나타나며, 해당 사항을 전문가의 칼럼, 만화 등으로 배울 수 있고, 추가적교육을 원하는 경우 전국투자자보호재단 등의 홈페이지로 이동

 

 󰊳 이후 추가적이고 세부적인 교육을 원하는 경우 이를 제공하는 교육기관 홈페이지로 이동 가능

 

 2단계 : 생애주기형 온라인 컨설팅 서비스 제공

 
 □ 영국 등의 온라인 금융 컨설팅 서비스를 벤치마킹하여 소비자의 합리적인 자산․부채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 영국 FSA의 금융교육 홈페이지에서는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에게 대출 관련 주의사항, 본인의 신용등급 확인 방법, 저신용자 대출상품 안내 등 금융애로 해결 가이드 제공


 □ 소비자가 자신의 생활환경(연령, 부양 가족 등) 및 금융상태(자산, 소득 및 부채 규모 등) 등을 묻는 질문에 답하면

 

  ① 부채 과다시 부채 경보시스템이 작동하고 부채 축소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 (예시) 금리가 낮은 대출상품 소개 및 전환 방법 안내

 

  ② 생애 주기별로도 소비자의 주요 사건(취업, 결혼 등)에 따라 적합한 소비․저축 행태 및 금융상품 제안

 

    ※ (예시) 신규 취업자가 자신의 자산 및 예상 급여 수준을 입력하면 적절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권유하거나 금융상품 비교공시 제공

 

    * 금감원이 학계전문가에 의뢰하여 마련한 개인금융진단 알고리즘 연구용역 결과(‘12년)를 토대로 개발

 

나. 금융 상담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금융교육의 품질 향상

 

 □ 취약계층에 대한 1:1 금융 상담을 통해 이들의 금융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공적 금융상담서비스(금융멘토)를 추진

 

< 시범 사업 추진 계획안(잠정안) >

 

① 금융권 퇴직자, 現서민금융 상담인력 등으로 금융멘토 인력풀을 구성하고 상담인력에 대한 교육 실시

 

② 금융멘토를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 등에 배치하여 취약계층과 1:1 맞춤형 대면․비대면 상담 실시

 

③ 금융멘토는 주로 신용 및 부채관리 방안 등에 대한 안내를 통해 취약계층의 금융자립 등을 지원할 예정


□ 또한, 연령별․계층별 표준교재 및 표준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하여 금융교육의 품질을 제고하는 등 다각적인 금융교육을 통해 금융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하도록 할 것임

 

첨부파일 (1)첨부파일 열림
121214_보도자료_금융교육원스톱포털구축(FN).hwp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