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참고]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총 가입금액 2조원 돌파
2016-06-14 조회수 : 31023
담당부서자산운용과 담당자송용민 사무관 연락처2100-2663

1.ISA가입현황

ISA 상품 출시(3.14) 후 약 3개월 경과 6.10일 현재 ISA 계좌수는 220만 5천계좌, 총 가입금액은 2조568억원

 

계좌당 평균가입금액93만원으로 1인당 GDP* 대비 2.8%, 1인당 금융자산** 대비 1.5% 수준

 

* 1인당 GDP : $28,166(’14년 기준, UN),

1인당 금융자산 : 6,164만원(’15년말 기준, 한국은행)

 

ㅇ 가입계좌수를 기준으로 한 가입대상인구* 대비 가입률9.9%, 총인구**대비 가입률은 4.3% 수준

 

* 가입대상인구 : 약 2,220만명(근로소득자+사업소득자-종합소득과세대상자+농어민)

총인구 : 약 5,080만명(통계청 ’16년 인구추계 기준)

 

 

일본의 제도도입 초기 상황과 비교할 때 현재까지 의미있게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 한국일본 제도도입 초기 가입실적 비교 >

 

한국 ISA (6.10일 기준)

일본 NISA (출시 3개월 경과시점)*

1인당 GDP 대비 평균가입금액

2.8%

4.0%

가입대상인구 대비 가입률

9.9%

6.2%

* ’14.1월 출시 → ’14.3월말 통계 적용

업권별 계좌수은행이 197만6천좌(89.6%), 증권사가 22만8천좌(10.4%)로, 은행의 비중이 높은 상황 지속

 

다만, 가입금액은행이 1조4,298억원(69.5%), 증권사 6,255억원(30.4%)으로, 계좌수에 비해 가입금액에 있어 증권사의 비중 높음

유형별로는 일임형보다신탁형(1조8,569억원, 90.3%) 비중 높음

< ISA 가입현황> (13주차, 6.10 기준)

업권

신탁형

일임형

합계

가입자수

금액(억)

가입자수

금액(억)

가입자수

금액(억)

은행

(비중)

1,832,338

12,578

143,783

1,719

1,976,121

14,298

90.7%

67.7%

78.1%

86.0%

89.6%

69.5%

증권

(비중)

187,811

5,975

40,434

280

228,245

6,255

9.3%

32.2%

21.9%

14.0%

10.4%

30.4%

보험

(비중)

1,016

16

(미취급)

1,016

16

0.1%

0.1%

0.0%

0.1%

합계

2,021,165

18,569

184,217

1,999

2,205,382

20,568

 

 

2.분석 및 평가

총 가입금액 기준으로 같은 기간 (구)재형저축의 2~3배 수준

 

→ ISA를 활용하려는 국민들의 높은 관심금융회사의 적극적 마케팅 결과

 

계좌 수 증가세완만해지고 있으나 가입금액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평균가입금액증가세

 

실수요자의 가입확대되고 기존 가입자들가입금액증가

 

신탁형비중높은 수준유지하고 있으나 일임형 가입규모도 점차 증가하는 모습

 

신탁형을 중심으로 초기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향후 금융회사의 운용능력 등이 검증될 경우 일임형 비중증가할 것으로 전망

 

((구)재형저축과 비교) 재형저축은 출시 후 약 4개월 경과시점(’13.3.6~6.31)총 가입금액이 약 7,565억원 (은행 재형적금 기준)

 

은행권 총가입금액기준으로는 ISA의 출시초기 가입규모가 (구)재형저축에 2배 수준

 

- 재형적금 위주로 가입이 이루어진 (구)재형저축의 특성을 감안할 때, 전 업권 가입규모ISA가 3배 수준으로 추정

 

계좌당 평균가입금액은 ISA가 재형저축(45만원)의 2배 수준

 

(가입규모 변화 추이) 계좌 수 증가세 점차 완만해 지고 있으나, 가입금액은 매주 1,300억원 내외 수준에서 꾸준히 유입

 

* 가입계좌 수(만좌) : (2~5주 평균) 21.2 → (6~9주 평균) 10.4 → (10~13주 평균) 7.1

가입금액(억원) : (2~5주 평균) 1,720 → (6~9주 평균) 1,319 → (10~13주 평균) 1,302

 

(주별 평균가입금액) 주별 신규가입계좌의 평균가입금액은 첫째주 약 49만원에서 13주차에는 313만원 수준에 이르는 등 증가 추세

 

* 계좌당 평균가입금액(만원) : (2~5주 평균) 90 → (6~9주 평균) 135 → (10~13주 평균) 201

(누적 평균가입금액) 신규가입계좌의 평균가입금액 증가, 기존 가입계좌의 추가불입 등에 따라 계좌당 누적 평균가입금액도 약 49만원 → 93만원 수준으로 지속 증가

 

* 계좌당 누적 평균가입금액(만원) : (1주末) 49 (5주末) 67 → (9주末) 80 → (13주末) 93

 

ㅇ 초기 계좌개설에 집중한 은행의 평균가입금액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점차 자산형성계좌로 ISA를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모습

 

* 은행권 누적 평균가입금액(만원) : (1주) 33 → (6주) 50 → (11주) 66

 

(가입 유형) 가입자가 직접 선택하여 운용하고, 낮은 보수 등 장점이 있는 신탁형 비중이 높게 유지되고 있음 (202만계좌·1조8,569억)

 

다만, 은행의 일임형 ISA 상품 출시 등의 영향으로 8주차 이후부터는 일임형 가입규모 점차 증가*하는 모습

 

* 일임형 가입규모(억원) : (2~5주 평균) 77 → (6~9주 평균) 160 → (10~13주) 249

 

* 가입계좌 중 일임형 계좌수 비중(%) : (1주차) 0.6 → (7주차) 6.0 → (13주차) 8.4

 

3.향후 추진계획

가. “ISA 다모아(비교공시 시스템)”인프라를 차질 없이 구축

 

“ISA 가입 및 운용현황, 신탁형 ISA 수수료” 비교공시 인프라를 내실있게 운용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한편,

 

“일임형ISA 수익률·수수료”에 대한 비교공시를 개시(6.30)하여 자산운용 관련 본격적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

 

또한, 하반기에는 “신탁형 수수료 계산기” 등을 새롭게 구축하여 투자자가 적실성있는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

 

 

나. ISA 계좌이전 제도 시행 (7월~)

 

ISA 계좌이전 제도도 예정대로 준비하여 비교공시 시스템과 함께 경쟁적 시장 환경조성

 

계좌이전 제도도 비교공시 2단계 오픈 일정에 맞추어 시행될 수 있도록 6월중 관련 시스템 구축 → 7.1일부터 제도 시행 예정

첨부파일 (2)첨부파일 열림
보도참고_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총 가입금액 2조원 돌파.hwp (336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보도참고_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총 가입금액 2조원 돌파.pdf (778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