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참고]금융권 성과중심 문화 정착 필요성과 금융노조 파업
2016-09-23 조회수 : 6923
담당부서금융정책과 담당자김영근 사무관 연락처2100-2824

금융권 성과중심 문화 정착의 필요성

 

현재 우리 금융산업은 대내외적으로 다양한 위기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

 

저성장·저금리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는 가운데 경기회복 지연으로 자산건전성 저하 위험에도 노출

 

ㅇ 혁신적인 핀테크 산업 성장으로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경쟁환경에 직면 → 향후 10년 이내 은행업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상황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금융산업은 보신주의, 무사안일 문화로 인해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 수익성 제고 등이 지체

 

ㅇ 국내 금융권은 해외와 비교할 때 생산성에 비해 임금수준이 과도하게 높은 상황

 

1) 1인당 GDP 대비 금융권 임금 비율(14년 기준, BCG 자료) : 영(1.83), 프(1.73), 독일(1.70), 스페인(1.52), 일(1.46), 호주(1.15), 미(1.01) Vs. 한국(2.03)

2) 제조업 대비 금융업 임금과 생산성(13년 기준, 생산성본부 자료 재가공) : (한국)1.4 : 1.0, (OECD)1.6 : 1.7

ㅇ 지속되는 실적 악화인건비 등 판관비 증가

* 10년~’14년 중 전체은행 영업이익은 연평균 약 4% 감소, 판관비는 3% 상승

 

ㅇ 성과와 무관한 연공형·경직적 임금체계

* 민간은행은 전 은행이 호봉제를 유지하고 집단평가 중심의 평가제 운영

 

주요 글로벌 은행국내 비금융 대기업들에 비해서도 금융업권의 성과중심 문화 정착수준은 매우 미흡한 상황

* 금융권(보험포함) 호봉제 비율(63.7%)은 全 산업(36.3%)의 1.8배로 청년 고용축소의 원인 작용

* 국내 은행의 성과급 비중은 15%를 하회하나, 해외 은행은 일부직군(IT, compliance 등 백오피스) 외에는 30% 이상

 

□ 금융노조가 주장하듯이 성과중심 문화 정착이 일방적으로 임금을 삭감하거나 쉬운 해고를 위한 것이 아님

 

ㅇ 성과중심 문화 확산은 임금이 높고 낮음을 고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생산성전문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려는 노력

 

- (성과별 보수 차등화) 일을 잘 하는 사람이 더 좋은 대우를 받아야 더 열심히 일할 동기가 부여되고 조직 전체의 성과도 향상

 

- (금융업무 전문화) 체계적 교육을 통해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 필요한 전문성을 제고

 

- (성과와 연계된 조직운영)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투명한 평가시스템통해 성과중심을 안착하고, 영업방식 및 근무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국민이 보다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 생산성을 제고

 

□ 또한 금융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으로 단기실적 위주의 영업관행이 유도됨으로써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입장이나

 

이는 성과연봉제 제도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평가모형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의 문제

 

 

□ 정부도 성과중심 문화에 대한 직원 수용성을 제고하고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방안이 추진되도록 할 것임

 

 객관성과 공정성을 갖춘 성과평가시스템 마련

 

- 과당경쟁 등 부작용을 사전 차단하도록 단 평가지표

고객만족도, 인재육성 등 질적장기 성장 요소 비중 확대

 

- 직원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지표 선정과정에 직원 참여 보장, 이의신청 및 조정절차를 운영

 

-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결과 검증 강화, 평가자 교육, 평가결과 감사 등 추진[→ 이를 규정한 평가준칙 마련]

 

 직무 및 역량개발 욕구에 맞는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공

 

-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직무별 필요역량과 교육과정 목록화

 

- 구조조정, 리스크관리 등 고도의 전문직무는 별도 경력개발계획 운영

 

- 임원 또는 핵심인력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프로그램 운영

 

 유연근무 및 여성 인력 활용도 제고 등 업무효율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한 보완 제도 시행

 

- 유연근무제를 확산하여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

 

- 관리자급 여성 인력을 육성하고 그 비중이 확대될 수 있도록

여성인력의 활용도를 높이는 프로그램 운영 추진

 

금융회사 생산성을 제고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위해 추진되는 성과중심 문화 정착이 금융노조의 반대로 무산된다면 우리 금융산업은 결국 금융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임

 

현황

17개 은행* 참가자는 약 18,000명(전체 직원 대비 15%, 조합원 대비 21%)

* 산업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신한은행, SC제일은행, 씨티은행, 수출입은행, 농협, 수협, 대구부산광주전북경남제주 은행

 

4개 대형 시중은행(신한, KEB하나, KB, 우리)의 파업참가율은 약 2.8% 수준이며, 이는 점포당 0.5명에 불과

 

□ 모든 은행에서 인터넷 뱅킹, 모바일 뱅킹, 영업점 전산망 등전산시스템은 정상 가동중

 

□ 모든 은행의 영업점이 정상영업 중이며, 인력부족이 없는 상태

 

 금융노조의 파업 목적인 “성과연봉제 도입 반대”에 대한 노조원들의 호응도가 낮은 수준

 

 

첨부파일 (2)첨부파일 열림
160923_파업보도참고자료.hwp (229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160923_파업보도참고자료.pdf (234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