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년 하반기 은행권 기술금융 실적평가(TECH 평가) 결과 ㅇ (대형은행 그룹) 1위 기업은행, 2위 신한은행 ㅇ (소형은행 그룹) 1위 경남은행, 2위 대구은행
■ 자체 기술금융 레벨 심사결과, ㅇ 국민·기업·산업·신한·우리·하나은행은 레벨4로 상향 ㅇ 부산·경남은행은 레벨3로 상향
|
1 |
|
2017년 하반기 은행 TECH 평가 결과 |
□ (평가 요소) 기술금융 ①대출공급규모와 ②질적 구성(기술기업지원 항목), ③기술기반 투자확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④기술금융의 은행별 내재화 정도(지원역량 항목)를 정성적으로 평가
※ 정량평가(금감원), 정성평가(신정원) → 금융연구원 검증 → 「TECH 평가위원회」 심사
< 평가 지표 (요약) >
|
|
< 평가 항목 > |
< 평가 요소 > |
|
|
|
평가 지표 |
(배점) |
|
정량평가 (80점) |
|
1. 공급규모 |
(20.0) |
· 대출액, 차주수 증가 |
2. 기술기업지원 |
(45.0) |
· 신용대출 비중, 초기기업 비중, 우수기술기업 비중 등 |
||
3. 기술기반 투자 확대 |
(15.0) |
· 기술금융 투자 증가 |
||
정성평가 (20점) |
4. 지원역량 |
(20.0) |
· 기술금융 역량(인력·조직), 리스크 관리 체계, 기술력 반영 시스템 구축 정도 등 |
□ (평가 결과) 대형은행그룹은 기업은행이(74.3점/100점 만점) 1위를 차지하고 신한은행(71.2점)이 2위를 차지
ㅇ 소형은행그룹은 경남은행(75.8점)이 1위, 대구은행(65.4점)이 2위
< 은행권 TECH 평가 결과 >
구 분 |
1차 (’14.하) |
2차 (’15.상) |
3차 (’15.하) |
4차 (’16.상) |
5차 (’16.하) |
6차 (’17.상) |
7차 (’17.하) |
|
대형은행 |
1위 |
신한 |
국민 |
신한 |
기업 |
기업 |
KEB하나 |
기업 |
2위 |
우리 |
신한 |
KEB하나 |
신한 |
신한 |
신한 |
신한 |
|
소형은행 |
1위 |
부산 |
부산 |
부산 |
부산 |
경남 |
대구 |
경남 |
2위 |
대구 |
대구 |
경남 |
경남 |
부산 |
경남 |
대구 |
* 기업은행은 ’16년부터 시중은행과 동일 그룹에서 경쟁(16년 前 기은은 특수은행 그룹)
< 대형 은행 >
① 기업은행은 대출 공급규모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인력·조직, 리스크 관리체계 등 지원 역량을 효과적으로 갖춘 것으로 평가
② 신한은행은 신용대출비중 및 초기기업 지원(질적지표) 등이 우수하며 기술평가 기반 투자공급액을 큰 폭으로 확대
< 소형 은행 >
① 경남은행은 대출규모, 투자규모, 지원역량 등 다수 지표에서 1위를 차지하여 타 소형은행 대비 높은 점수를 획득
② 대구은행은 모든 지표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대출 공급규모, 지원역량 등에서 강점
□ (시사점) 기술금융 성장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질적으로도 성숙되어 은행권의 새로운 여신관행으로 정착되는 추세
ㅇ (양적 측면) ’17년, 기술금융 대출은 81.6조원 수준(누적 순증 잔액 기준)으로 당초 공급목표를 초과 달성(’17년 목표 80.0조원)
- 기술기반 투자의 경우 전년 대비 2배 이상으로 확대((’16) 7,970억원 → (‘17) 17,070억원, 전년 대비 114% 증가)
ㅇ (질적 측면) 기술금융대출은 일반 중기대출과 비교하여 금리 0.23%p 인하, 한도 1.6억원 확대 등 실질적 금융편의을 제공
- 특히, “창업 7년 이내, 매출액 100억원 이하” 초기기업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등 질적으로 성숙((’16) 36.3% → (‘17) 46.3%)
2 |
|
은행 자체 기술금융 레벨 심사 결과 |
□ (평가 요소) ①전문인력 수, ②평가서 수준, ③실적요건(직전 단계 실시기간), ④물적 요건으로 자체평가 실시 여부 및 단계를 결정
※ 민간 기술평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체 TCB 역량 심의위원회」가 심사
ㅇ 심사 결과 자체 TCB평가 실시단계(레벨)가 상향될수록 자체평가에 기반한 기술신용대출 가능 금액이 증가
< 평가요소 및 단계별 인센티브>
항목 |
예비실시 |
정식실시 |
전면실시 |
|
Level 1 |
Level 2 |
Level 3 |
Level 4 |
|
전문인력 수 |
5명 이상 |
10명 이상 |
15명 이상 |
20명 이상 |
(소형은행) |
(3명 이상) |
(5명 이상) |
(7명 이상) |
(10명 이상) |
평가서 수준 |
70점이상 60% |
70점이상 70% |
70점이상 80% |
80점이상 80% |
(소형은행) |
(70점이상 70%) |
(70점이상 80%) |
(80점이상 80%) |
(80점이상 80%) |
직전레벨 실시기간 |
- |
6개월 |
6개월 |
1년 |
물적 요건 |
별도 조직 마련, 자체 모형 구축, 전산화 등 |
|||
자체 TCB대출 가능금액* |
- |
20% |
50% |
제한없음 |
* 직전 반기 TCB대출 총액 대비 비율
□ (평가 결과) 6개 은행(국민·기업·산업·신한·우리·하나) 「레벨 4」 상향, 2개 은행(부산·경남) 「레벨 3」 상향을 승인
□ (시사점) 기술금융의 은행권 내재화가 가속화되어 개별 은행이 외부 기술평가 전문기관에 준하는 전문성을 확보해 나가는 모습
① (평가 역량) 6개 은행은 20명 이상의 전문인력, 독자 평가모형·전산시스템 등 기술평가 역량 및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
- 다양한 자격을 갖춘 기술분야별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전담분야별 소팀제 운영 등 조직 세분화를 통해 전문성을 제고
< 8개 은행의 기술평가 역량 현황 >
|
레벨 4 |
레벨 3 |
||||||
은행 |
산 업 |
신 한 |
우 리 |
하 나 |
기 업 |
국 민 |
부 산 |
경 남 |
전문인력 |
20명 |
20명 |
21명 |
20명 |
20명 |
23명 |
7명 |
7명 |
조직 |
평가전담조직 내 전담기술분야별 세분화 |
평가전담조직 |
||||||
평가모형 |
은행별 독자 기술평가모형 운영 (업종·업력 등에 따라 세분화) |
|||||||
전산시스템 |
기술금융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 (평가결과 DB화 및 집중 포함) |
② (평가서 품질) 전문인력 확충 및 노하우 축적, 기술평가모형의 개선 등에 따라 평가서 품질 수준이 안정적 궤도에 정착
※ 평가등급 적정성, 기술성 및 시장·사업성 의견 적정성 등을 민간 전문가가 심사
< 은행별 평가서 품질평가 결과 >
|
레벨 4 |
레벨 3 |
|||||||
|
산업 |
신한 |
우리 |
하나 |
기업 |
국민 |
부산 |
경남 |
|
80점이상 평가서 비중 |
80% |
100% |
100% |
87% |
100% |
100% |
100% |
100% |
|
평균 점수 |
86.0 |
96.0 |
91.7 |
88.7 |
95.0 |
90.7 |
99.3 |
96.7 |
③ (정착 노력) 6개 은행은 통합여신모형* 정착 로드맵을 수립하고, 평가결과 축적, 분석 및 모형개선 노력을 지속
* 기술평가 결과에 따른 기술등급과 은행 자체 여신심사 모형에 따른 신용등급이 결합된 통합여신모형 마련 추진(현재 기술등급, 신용등급 이원화 운영)
- 나아가 기술평가 전문인력이 투자·컨설팅 등 다방면에 참여하고 있으며, 기술금융 조직과 투자·비금융서비스 등 타 조직과의 연계 사업도 활발하게 진행
3 |
|
향후 계획 |
□ 6개 은행은 ’18년 상반기부터 자체 TCB평가의 전면실시가 가능→ 은행권 내 기술력 반영 관행 정착이 가속화 예상
□ 이에 따라 기술평가 신뢰도를 지속 제고하기 위한 체계적인 내·외부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
① (내부) 은행은 TCB社에 준하는 자율 품질관리체계* 마련 등을 통해 자체 품질 관리를 강화
* 독립된 검수조직 마련, 검수자 실명제 및 이력관리 등
② (외부) 금융위는 기술금융 품질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외부 전문가를 통한 주기적인 품질모니터링 제공
* 기존 TCB社 평가와 은행 자체 TCB평가간 통일된 기준 마련 및 명문화·제도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