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보도참고] 2018년 5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2018-06-12 조회수 : 18356
담당부서금융정책과 담당자윤덕기 사무관 연락처02-2100-2835

 

금년 5월중 全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규모 +6.8조원으로 년 동월(+10.0조원)대비 △3.2조원 축소

 

*금융감독원 감독·검사대상(은행, 보험사, 상호금융, 저축은행, 여전사) + 새마을금고

 

ㅇ은행권은 전년 동월대비 증가폭이 △1.0조원, 제2금융권△2.2조원 축소되는 등 全 금융권이 안정화

(은행 +6.3조원→+5.3조원, 제2금융권 +3.7조원→+1.5조원)

 

’18년 1~5월중 증가규모+27.4조원으로 전년 동기(+32.5조원) 대비 △5.1조원 축소(전년 동기 증가분의 약 84% 수준)

1

 

18. 5월중 금융권 가계대출 동향

 

(개 요) ‘18년 5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6.8조원 증가하여 전월(+7.3조원) 대비 △0.5조원 축소되었으며, 전년 동월(+10.0조원) 대비로도 △3.2조원 축소

 

’18년 1~5월 중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27.4조원으로 전년동기(+32.5조원) 대비 △5.1조원 축소되었으며, 주로 제2금융권 가계대출의 증가폭크게 감소한 데 기인(+15.6조원 → +7.4조원, △8.2조원)

 

(은행권) ‘18년 5월중 증가규모는 +5.3조원으로, 전월(+5.1조원) 대비 +0.2조원 소폭 증가한 반면, 전년 동월(+6.3조원) 대비 △1.0조원 감소

 

(주담대 : +2.9조원) 집단대출 증가로 증가폭이 전월(+2.5조원) 대비 +0.4조원 확대되었으나, 전년 동월(+3.8조원) 대비 △0.9조원 감소

 

*은행권 개별대출(주금공 양도포함) 증감(조원) : (’18.4월) +1.4 → (5월) +1.2

**은행권 집단대출 증감(조원) : (’18.4월) +1.0 → (5월) +1.7

 

(기타대출 : +2.5조원) 신용대출 증가세 지속에도 불구하고, 기타대출 전체 증가규모는 전월(+2.7조원) 대비 △0.2조원 축소되었고, 전년 동월 증가규모(+2.5조원)와는 유사한 수준

 

*은행권 신용대출 증감(조원) : (‘18.1월) +0.9 → (‘18.2월) +0.1 → (‘18.3월) +0.4→ (‘18.4월) +1.3 → (‘18.5월) +1.8

 

(제2금융권) ‘18년 5월중 +1.5조원 증가하여 전월(+2.1조원) 대비 △0.6조원, 전년 동월(+3.7조원) 대비 △2.2조원 감소

 

(상호금융) '18.5월중 +0.4조원 증가하여 증가폭이 전월(+0.8조원)대비 △0.4조원, 전년 동월(+2.3조원) 대비 △1.9조원 축소

 

 

(보 험) ’18.5월중 보험계약대출(+0.4조원) 중심으로 +0.4조원 증가하여 전월 및 전년 동월(+0.4조원)유사한 수준

 

(저축은행)’18.5월중 +0.1조원 증가하여 전월(+0.3조원)전년 동월(+0.2조원) 대비 각각 △0.2조원, △0.1조원 축소

 

(여전사)’18.5월중 카드대출(+0.5조원)중심으로 +0.6조원 증가하여 전월 전년 동월(+0.7조원) 대비 증가폭이 소폭 축소(△0.1조원)

 

< 가계대출 증감 추이 (금감원 속보치 기준) >

 

(단위 : 조원)

 

'16년

(1~5월)

 

'17년

(1~5월)

 

'18년

(1~5월)

 

4월

5월

4월

5월

4월

5월

은 행

+21.8

+5.2

+6.7

+16.9

+4.6

+6.3

+19.9

+5.1

+5.3

제2금융권

+17.0

+3.8

+5.3

+15.6

+2.6

+3.7

+7.4

+2.1

+1.5

 

상호금융

+9.9

+2.6

+3.1

+9.9

+1.9

+2.3

+1.0

+0.8

+0.4

 

 

신 협

+1.33

+0.23

+0.41

+0.70

+0.12

+0.17

△1.37

△0.20

△0.26

 

농 협

+5.33

+1.47

+1.73

+4.20

+0.70

+0.85

+2.22

+0.90

+0.71

 

수 협

+0.07

△0.02

+0.05

+0.22

+0.06

+0.09

△0.28

△0.08

△0.05

 

산 림

+0.11

+0.04

+0.04

+0.21

+0.05

+0.05

+0.26

+0.07

+0.06

 

새마을금고

+3.03

+0.83

+0.90

+4.57

+0.93

+1.12

+0.18

+0.07

△0.05

 

보 험

+2.5

+0.4

+0.7

+2.1

+0.3

+0.4

+1.9

+0.4

+0.4

 

저축은행

+2.2

+0.4

+0.4

+1.6

+0.3

+0.2

+0.8

+0.3

+0.1

 

여 전 사

+2.5

+0.4

+1.0

+2.0

+0.2

+0.7

+3.8

+0.7

+0.6

全금융권합계

+38.8

+9.0

+11.9

+32.5

+7.3

+10.0

+27.4

+7.3

+6.8

주 ː 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 대출 포함, 속보치 기준으로 향후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2

 

평가 및 향후계획

 

□ ’18.5월 중 가계대출 증가규모(+6.8조원)는 전년 동기(+10.0조원)대비 크게 축소되었으며, 주담대 위주감소*하는 모습

 

* 全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증감 : (’17.5월) +5.2조원 → (‘18.5월) +2.5조원

全 금융권 기타대출 증감 : (’17.5월) +4.7조원 → (‘18.5월) +4.3조원

 

주담대 증가규모 감소新DTI(‘18.1.30일), DSR(은행권 시범운용, ’18.3.26일)주담대 규제강화 효과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

 

한편, ’18년 1~5월 중 증가규모(+27.4조원)’15~’17년 동기간 중 최저수준*으로, 누적 증가세지속적으로 둔화되는 경향

 

* (’15.1~5월) +31.6 → (’16.1~5월) +38.8 → (’17.1~5월) +32.5 → (’18.1~5월) +27.4 (단위 : 조원)

 

향후에도 현재안정적인 가계대출 증가세지속될 수 있도록 旣 발표 가계부채 대책후속조치 등을 차질없이 추진

 

① 저축은행, 여전사 등에 대한 주담대 여신심사가이드라인 도입(‘18.10월)으로 고정금리·분할상환 주담대 활성화 적극 유도

 

② 금년중 모든 업권DSR 시범운영 실시하고, 은행권금년 하반기, 비은행권내년부터 DSR을 관리지표*로 도입

 

* 업권별 도입시기 : (은행) ‘18.3월, (상호금융) ’18.7월(예정)

 

③ 금년중 제2금융권개인사업자대출 가이드라인 도입(상호금융 7월, 저축은행·여전업권 10월)

 

□ 또한, 향후 금리 지속상승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취약차주·고위험가구 등에 대한 면밀한 정책대응을 지속 추진

 

① 그간 금리상승에 선제적으로 대비하여 추진해 온 정책*들의 운영효과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미비점 보완

 

* 최고금리 인하, 연체금리 인하, 원금상환유예, 담보권 실행 유예 등

 

② 금리상승에 따른 업권별·취약차주별 스트레스테스트 실시(‘18.下) 후, 점검결과에 따른 보완대책 마련

첨부파일 (2)첨부파일 열림
(180612) (보도참고) 5월중 가계대출 동향.hwp (206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180612) (보도참고) 5월중 가계대출 동향.pdf (265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