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회의 개요 |
□ 금융위원회 김태현 사무처장은 ’19년 제2차「사회적금융협의회」를 개최하여 사회적금융 공급실적을 평가하고 기관별 추진현황을 점검
① ’19년 공공부문 자금공급 계획(’18.12월 발표) 대비 실적 평가
②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DB 구축 현황 점검
③ 사회적경제기업 DB 구축 현황 점검
④ ’19년 상반기 은행권 사회적금융 추진실적 평가
⑤ 벤쳐캐피탈회사의 임팩트투자(Impact Investment) 사례 연구
■ (일시 / 장소) ’19.7.10.(수) 10:00~11:30 / 서민금융진흥원 대회의실
■ (주요 참석자)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주재), 사회적금융협의회 참여 17개 기관*, 사회가치연대기금, 신한대체투자
* 기재부, 중기부, 금감원, 서민금융진흥원, 은행연합회, 신보, 지신보, 기보, 신협, 농협, 수협, 새마을금고, 중진공, 소진공, 성장금융, 벤처투자, 신용정보원 |
※ 사회적금융협의회는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18.2월 발표)」의 추진상황 점검 및 관련 제도 개선 등을 협의하기 위해 구성
(18년 중 3차례(’18.4월, 9월, 12월) 및 19년 중 1차례(’19.4월) 회의 개최)
2 |
|
공공부문 자금공급 실적 |
□ 사회적경제기업은 업력(業歷)이 짧고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아 민간 금융회사를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향
ㅇ 이에 공공부문을 통한 자금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사회적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강화
* ’18년 1,937억원 집행 → ’19년 3,230억원 목표
□ (공급실적) ’19.6월말 현재 1,144개社에 2,102억원의 자금을 공급하여 전반적으로 차질없이 집행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목표대비 65.1%)
(단위 : 억원)
유형 |
공공기관 |
‘19년 집행예정액 |
6월말 집행액 (기업수) |
대출 |
서민금융진흥원 |
50 |
19(36개사)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500 |
241(144개사) |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100 |
9(20개사) |
|
신협 |
300 |
107(194개사) |
|
새마을금고 |
10 |
0(0개사) |
|
보증 |
신용보증기금 |
1,000 |
679(411개사) |
지역신용보증재단 |
150 |
66(147개사) |
|
기술보증기금 |
700 |
725(167개사) |
|
투자 |
한국성장금융 |
200 |
104(8개사) |
한국벤처투자 |
220 |
152(17개사) |
|
소계 |
- |
3,230 |
2,102(1,144개사) |
ㅇ (대출) 상반기중 목표대비 43.7%인 376억원 집행(376억원/860억원)
- 사회적경제기업 전용자금 지원(소진공, ’19.7~), MG사회적경제기업육성 지원사업(새마을금고, ’19.7~) 등 하반기 대출지원 확대 예상
ㅇ (보증) 신보, 기보의 적극적인 보증공급 등으로 인해 목표대비 약 79.5%인 1,470억원 보증 공급(1,470억원/1,850억원)
ㅇ (투자) 한국성장금융 및 한국벤처투자에서 출자·조성한 펀드를 통해 목표대비 약 61.0%인 256억원 투자 완료(256억원/420억원)
□ (향후 계획) 신규 대출상품 출시(소진공, 새마을금고), 19년도 사회투자펀드 집행(성장금융, 벤처투자) 등을 통해 차질없이 자금 공급
3 |
|
사회적금융 중개기관DB 구축 현황 |
□ 민간부문의 사회적금융중개기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이용하기 곤란
* 자금공급자(공공·민간)의 자금을 사회적경제기업에 전대(轉貸)·투자하거나 경영컨설팅 등을 통해 지원하는 역할 수행(예: 신나는조합, 한국사회투자 등)
ㅇ 이에 서민금융진흥원을 중심으로 사회적금융중개기관DB를 구축
<사회적금융중개기관 DB 개요>
ㅇ (추진 과정)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서민금융진흥원 내부 전산망에 22개 중개기관에 대한 DB 구축(’18.12월)
* 서민금융진흥원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등을 통해 사회적금융 수행여부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27개 기관 응답, 22개 기관 DB 참여 동의)
ㅇ (대상 정보) ①기관현황(기관명, 소재지 등), ②기관운영(사업장 소유형태, 인력 현황 등), ③재무정보(자산ㆍ부채ㆍ자본규모 등), ④지원사업(대출상품, 실적 등) |
□ 구축된 중개기관DB 공유를 위해 진흥원 홈페이지 內 사회적금융 페이지를 신설*하여 중개기관 요약 DB 공개(’19.7월 예정)
* 사회적금융 페이지 내용 : ①사회적금융 개념 및 현황, ②정부 활성화 방안, ③해외 사례, ④중개기관 현황(요약 DB), ⑤진흥원 사회적금융 수행현황 등
<사회적금융 페이지 메인 화면> |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DB 화면> |
□ 구축된 DB는 정기적인 실태조사(연 1회)를 통해 중개기관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예정이며,
ㅇ 사회적경제기업의 금융 접근성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4 |
|
사회적경제기업 DB 구축현황 |
□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시 지원대상 기업들의 실제사업수행여부, 재무상황 등을 점검할 수 있는 DB구축 추진
ㅇ 1차적으로 사회적금융협의회 소속 기관* 등을 대상으로 사회적경제기업의 신용정보를 집중·공유하는 DB를 구축하고,(~’19.9.)
* 서민금융진흥원, 중소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농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은행연합회(개별은행이 수행)
ㅇ 장기적으로 민간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참여, 집중대상 정보 범위 확대(사회적가치 정보, 투자 정보 등) 등 추진
<사회적경제기업 DB 개요>
ㅇ (대상 기관) 사회적금융협의회에 참여하고 있는 사회적금융 지원기관*
ㅇ (대상 정보) ①기업정보(식별번호, 사회적경제조직유형, 대표자명 등), ②대출정보(대출금융기관명, 대출금액, 연체금액 등), ③보증정보(보증기관, 보증액, 보증한도 등) |
□ (구축 방식) 현재 신용정보원에서 집중ㆍ관리 중인 신용정보망을 활용하여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정보 집중ㆍ공유 시스템 구축
ㅇ (실시간공유) 신용정보원 DB에 집중·관리되는 해당 기업체의 사회적경제기업 인증유형, 여신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공유*
* 신용정보원 구축 업무 홈페이지(관리포털), 온라인 설계서를 통해 가능
ㅇ (배치전문) 신용정보원이 보유한 전체 기업체의 인증유형 등 관련정보를 배치(Batch)파일 형식*으로 주(週)단위 제공
* 신용정보원 웹사이트 조회 없이도 각 기관별 내부전산망을 통해 기업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신용정보원이 보유한 사회적경제기업DB를 배치파일 형식으로 제공
□ (향후계획) 전산 개발 및 테스트 등을 거쳐 ’19년 3분기 중 사회적경제기업DB 시스템 오픈 예정이며,
ㅇ 구축된 DB를 통해 사회적금융업무 수행 기관의 리스크 관리, 지원 대상 기업 발굴 등을 지원
5 |
|
2019년 상반기 은행권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자금지원실적 |
□ (총 규모) ’19년 1.1.~6.20. 기간 중 은행권은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해 총 1,330건, 1,915억원(건당 평균 1.4억원)의 자금을 공급
ㅇ 이는 ’18년 전체 실적(3,424억원)의 55.9% 수준이며, 작년 상반기지원 실적(1,718억원) 대비 약 11.5% 증가
□ (기업유형별) 사회적기업 대상 지원이 1,414억원(73.8%)으로 가장 많으며, 협동조합(405억원, 21.2%), 마을기업(69억원, 3.6%), 자활기업(27억원, 1.4%) 順
(단위 : 건, 억원, %)
구 분 |
2018년 |
2019년 상반기(잠정) |
||||
건수 |
금액 |
비중 (금액기준) |
건수 |
금액 |
비중 (금액기준) |
|
사회적기업 |
2,499 |
2,987 |
(87.2) |
1,087 |
1,414 |
(73.8) |
협동조합 |
185 |
278 |
(8.1) |
119 |
405 |
(21.2) |
마을기업 |
188 |
138 |
(4.0) |
54 |
69 |
(3.6) |
자활기업 |
114 |
21 |
(0.6) |
70 |
27 |
(1.4) |
소 계 |
2,986 |
3,424 |
(100.0) |
1,330 |
1,915 |
(100.0) |
* 지원대상 기업이 두 개 이상의 유형에 해당할 경우 지원금액順으로 집계
(예: 협동조합이면서 사회적기업인 기업에 대한 지원실적 ⇒ 사회적기업 실적으로 집계)
□ (지원유형별) 대출이 1,868억원(97.6%)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기부ㆍ후원 25억원(1.3%), 제품구매 17억원(0.9%), 출자 5억원(0.2%) 順
(단위 : 건, 억원, %)
구 분 |
2018년 |
2019년 상반기(잠정) |
||||
건수 |
금액 |
비중 (금액기준) |
건수 |
금액 |
비중 (금액기준) |
|
대출 |
1,795 |
3,355 |
(98.0) |
880 |
1,868 |
(97.6) |
출자 |
3 |
6 |
(0.2) |
1 |
5 |
(0.2) |
기부ㆍ후원 |
86 |
18 |
(0.5) |
36 |
25 |
(1.3) |
제품구매 |
1,096 |
40 |
(1.2) |
401 |
17 |
(0.9) |
기타 |
6 |
7 |
(0.2) |
12 |
1 |
(0.0) |
소 계 |
2,986 |
3,424 |
(100.0) |
1,330 |
1,915 |
(100.0) |
|
□ (은행별) 기업(511억원, 26.7%), 신한(427억원, 22.3%), 하나(248억원, 12.9%)의 실적이 높아, 전체의 과반 이상(1,185억원, 61.9%)을 차지
ㅇ 다음으로 우리(209억원, 10.9%), 농협(163억원, 8.5%), 국민(147억원, 7.7%) 順
- 지방은행은 경남(125억원, 6.5%), 대구(43억원, 2.3%), 부산(16억원, 0.8%) 順
6 |
|
임팩트 투자 사례 연구 |
□ 최근 금융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면서 벤처캐피탈(VC)을 중심으로 사회적기업 및 소셜벤처 등에 투자하는 임팩트투자가 주목받고 있음
*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 재무수익률 뿐 아니라 기업이 창출하는 사회·환경적 효과(Impact)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를 결정하는 사회적 금융
ㅇ 공공부문에서도 한국성장금융, 한국벤처투자 등에서 민·관매칭 출자를 통해 소셜임팩트펀드를 조성·운용 중
□ 이에 소셜임팩트펀드 운용사의 실제 임팩트투자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 임팩트투자시 애로사항 및 개선 과제 등을 논의
ㅇ (투자사례) 주거 안정 및 공동체 복원, 취약 계층 소득 증진, 정보 불평등 완화 기업 등에 투자함으로써 사회적임팩트의 선순환 유도
- 특히 IPO·M&A 등 전통적인 벤처 투자의 회수 방안이 적용되기 어려운 기업과 협동조합에 대한 투자에 집중
ㅇ (제안사항) 사회적기업 및 소셜벤처에 대한 지원방식 다양화, 사회적가치에 대한 객관적 측정기준 마련 등 제안
7 |
|
향후 계획 |
□ 사회적금융협의회 운영(분기별 1회 목표)을 통해 자금공급, 인프라 구축 진행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규제완화 등을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
붙 임 |
|
은행별 사회적경제기업 지원 실적(’19.6.20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은행명 |
유형별 지원금액 |
소계 |
||||
대출주1) |
출자 |
기부/후원 |
제품구매 |
기타주2) |
||
국민 |
14,376 |
0 |
262 |
17 |
0 |
14,655 |
우리 |
20,312 |
450 |
110 |
0 |
0 |
20,872 |
신한 |
42,318 |
0 |
41 |
343 |
24 |
42,726 |
하나 |
22,792 |
0 |
1,811 |
136 |
35 |
24,774 |
SC |
23 |
0 |
0 |
0 |
0 |
23 |
씨티 |
100 |
0 |
3 |
0 |
2 |
105 |
기업 |
50,253 |
0 |
8 |
790 |
0 |
51,051 |
농협 |
16,186 |
0 |
8 |
149 |
0 |
16,343 |
수협 |
0 |
0 |
0 |
1 |
0 |
1 |
부산 |
1,492 |
0 |
0 |
73 |
0 |
1,565 |
대구 |
4,007 |
0 |
231 |
80 |
0 |
4,318 |
경남 |
12,435 |
0 |
1 |
40 |
0 |
12,476 |
광주 |
910 |
0 |
0 |
0 |
0 |
910 |
전북 |
200 |
0 |
18 |
16 |
0 |
234 |
제주 |
1,395 |
0 |
0 |
6 |
0 |
1,401 |
산업 |
0 |
0 |
0 |
0 |
0 |
0 |
합계 |
186,799 |
450 |
2,492 |
1,651 |
61 |
191,454 |
주1)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기업대출(소속 임직원 대출 제외) 신규 취급분 기준
주2) 대출 등 타 유형에 속하지 않는 컨설팅, 행사 개최 등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