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핀테크 금융혁신을 위한 금융지주 간담회 개최결과
2019-02-25 조회수 : 6332
담당부서금융혁신과 담당자서나윤 서기관 연락처02-2100-2533

 

■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주요 금융지주회장들은 글로벌 핀테크 경쟁 상황과 국내 금융산업의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 하고,

 

① 핀테크 기업에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금융인프라 개방
유니콘 핀테크 육성을 위한 투자 및 지원 확대
③ 핀테크 협력을 통한 글로벌 진출 확대 등을 함께 추진키로 합의

 

■ 특히, 금융지주회장들은 핀테크 기업과 은행간 금융결제망을 개방하는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방안에 대해서도 필요성과 공감을 표명

 

1

 

회의 개요

 

□ ‘19.2.25(월),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과 혁신 촉진을 위한 핀테크 활성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금융그룹 차원의 적극적 협조를 구하기 위해 금융지주 간담회  개최

 

< 금융혁신을 위한 금융지주회장 간담회 개요 >

▣ 일시/장소 : ‘19.2.25일(월) 8:30~9:30 / 금융위 16층 대회의실

 

▣ 참 석 자 :

 

ㅇ 금융위원장, 금융위 사무처장, 금융혁신기획단장

 

ㅇ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회장, 김도진 기업은행장, 윤종규 KB금융지주회장,
김태오 DGB금융지주회장, 김지완 BNK금융지주회장, 김한 JB금융지주회장

 

ㅇ 은행연합회장, 금융결제원장

 

▣ 주요내용 : ① (은행연합회) 금융권 핀테크 활성화 추진현황 및 건의
                    ② (금융위원회) 핀테크 활성화를 통한 금융혁신 추진전략 소개
                    ③ (금융위원회)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방안 (※ 별도 보도자료 배포)

 

2

 

주요 논의사항

 

 

. 금융위원장 모두발언 요지

 

□ 최 위원장은 최근 우리경제 주력산업이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 금융권이 적극적으로 협조해 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시

 

□ 위원장은 핀테크가 촉발한 디지털 환경변화는 우리가 금융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대분기점(Great Divergence)이 될 것이라며,

 

ㅇ ‘추격형’ 아닌  ‘선도형’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금융권이 먼저 과감하고 선제적인 변화를 이끌어 주기를 제안

 

□ 이를 위해 정부와 금융권이 함께 해야 할  몇 가지 노력을 강조

 

ㅇ 첫째, 핀테크 기업, 은행 상호간 금융결제망을 전면 개방하여 혁신적 기업에 “기회”를 주고, 소비자 중심 혁신 추진

 

- 특히,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방안」으로 공동 결제시스템을 개방하고, 망 이용료를 대폭 인하키로 한 것은 핀테크, 금융혁신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대승적 합의에 감사를 표명

 

- 또한 국민들이 간편 앱 하나로 모든 금융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게 되므로 소비자 편익의 획기적인 제고도 기대

 

ㅇ 둘째, 유니콘 기업이 많이 나올 수 있도록 혁신적 핀테크 기업에 대한 금융그룹의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 부탁

 

ㅇ 셋째, 금융분야 신남방정책은 핀테크를 전략으로 활용하여, ‘핀테크 로드’를 개척하는 글로벌 금융그룹으로의 도약을 강조

 

□ 이와 함께, 정부도 지금까지와 차원이 다른 놀랄만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를 밝힘

 

ㅇ 인터넷전문은행법, 금융혁신지원특별법에 이어 신용정보법 개정, P2P법 제정 혁신 생태계를 뒷받침할 제도 구축 노력 지속

 

ㅇ 4월 시행되는  ‘금융규제 샌드박스’전향적이고 적극적으로 운영하여  민간의 혁신역량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약속

 

ㅇ 또한, 금융그룹들이 글로벌 금융플랫폼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보다 근본적인 규제완화, 규율체계 개편을 고민 중이라고 밝힘

 

□ 우리나라 대표 금융그룹들과 정부의 시대적 소명은 대한민국 금융산업에 변화와 혁신의 DNA를 새롭게 남기는 것이라며,

 

ㅇ 특히, 핀테크는 미래 일자리를 ‘발명’해 낼 대표 신산업으로,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방안」이 그 출발점이자 강력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

 

핀테크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우리 금융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경제의 새 활력을 불러일으키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제언

 

. 주요 논의내용

 

□ 은행연합회는 글로벌 금융그룹들의 디지털 주도권 확보 경쟁국내 금융권의 대응동향 등을 소개하면서,

 

ㅇ 핀테크와의 협업, 이를 통한 금융회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 규제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제안

 

□ 금융혁신기획단장은 그간의 「핀테크 활성화를 통한 금융혁신 추진전략」을 설명하고, 정부와 금융권의 공동 노력을 강조

 

< 핀테크 활성화를 통한 금융혁신 추진전략 >

 핀테크 활성화를 통한 금융혁신 추진전략

 

ㅇ 이어서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방안」을 발표(※ 별도 보도자료 배포)

 

. 참석자 주요 발언요지

 

□ 참석한 회장들은 글로벌 금융플랫폼 경쟁 현실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방향에 대해 적극적인 공감을 표명하면서 금융그룹별 디지털 추진전략을 소개

 

윤종규 KB회장은 금융결제 분야 혁신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에 적극 공감하며 선도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힘

 

조용병 신한회장은 핀테크 기업과의 혁신금융서비스 공동참여 계획, ‘혁신성장 프로젝트’ 통한 4년간 1.7조원 투자 계획 등 언급

 

김정태 하나회장은 그룹공동 Open API 개방, CVC 설립을 통한 투자 확대, 핀테크 제휴 통한 동남아 등 해외진출 노력 소개

 

손태승 우리회장은 Open API, 클라우드 지원 등 테스트베드센터 조성계획, 3년간 약 3조원 규모 직접투자 계획 등을 밝힘

 

김태오 DGB회장은 올해를 DGB 디지털 혁신(Digital Transformation)의 원년으로 삼고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추진 중이라고 언급

 

김지완 BNK회장은 부산경남지역 핀테크 생태계 조성 지원 중이며, 특히 인재양성, 비즈니스 협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힘

 

김한 JB회장은 전통적 금융산업의 틀을 넘어, 데이터를 활용한 비대면 영업채널 확장 노력 등을 소개

 

김도진 기업은행장은 IBK핀테크 드림랩, 창공 등을 소개하면서, 공공기관까지  클라우드 활용 확대가 적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힘

 

□ 특히, 「금융결제인프라 혁신방안」에 대해서는 정부의 깊은 고민에 공감한다며, 의미 있는 혁신방안적극 공감하면서 그룹의 전략 수정을 통해 혁신을 선도해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

 

ㅇ 이에 더하여, 글로벌 디지털 경쟁 속도를 감안하여  정부의 규제개혁금융산업 지원정책더 속도감 있게 추진해 줄 것을 제안

 

별첨. 금융위원장 모두발언

첨부파일 (4)첨부파일 열림
3. (보도자료) 지주회장간담회 개최결과-FN.hwp (222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3. (보도자료) 지주회장간담회 개최결과-FN.pdf (327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3-1.[별첨] 모두발언(지주회장간담회)-최종.hwp (25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3-1.[별첨] 모두발언(지주회장간담회)-최종.pdf (288 KB) 파일뷰어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