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1980 페이지2/330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지역 기업의 지분투자 지원을 확대합니다
2025-02-12
부산·울산·경남 동남권 지역기업의 지분투자 지원을 확대합니다. 부산 산업전환녹색펀드 출범 계기 지역기업간담회. 2025년 2월 10일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 출범계기 지역기업 간담회에 참석하여 지역기업에 대한 투자중심 지원 확대를 약속하고 지역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습니다.
올해부터 2033년까지 동남권(부산·울산·경남)의 중견기업 및 예비중견기업 등에 주목적으로 투자하는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를 매년 2,500억원 이상 조성합니다. 은행출자분* 2,500억원 중 20%인 500억원 + 민간자금 2,000억원 이상 매칭 * 맞춤형 기업금융지원방안(2024년 2월)을 통해 5대은행은 매년 500억원씩 총 2,500억원 출자. 금번 펀드로 부울경지역 예비중견·중견기업의 투자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9년간 총 2조원 이상의 신규자금 투입. 특히 지자체(부산)가 사상 최초로 은행출자분에 대해 후순위를 보강하여 은행의 출자부담을 낮추고 투자중심의 펀드결성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소속 4개 정책금융기관(산은·기은·신보·기보)은 올해 247조 5천억원의 자금공급 중 비수도권에 약 100조원을 공급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지역활성화투자펀드는 올해에도 3조원 이상 투자될 수 있도록 지역의 유망한 투자처 지속 발굴.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금융위원회와 정책금융기관은 지역산업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부산·울산·경남 동남권 지역기업의 지분투자 지원을 확대합니다. 부산 산업전환녹색펀드 출범 계기 지역기업간담회. 2025년 2월 10일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 출범계기 지역기업 간담회에 참석하여 지역기업에 대한 투자중심 지원 확대를 약속하고 지역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습니다.
올해부터 2033년까지 동남권(부산·울산·경남)의 중견기업 및 예비중견기업 등에 주목적으로 투자하는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를 매년 2,500억원 이상 조성합니다. 은행출자분* 2,500억원 중 20%인 500억원 + 민간자금 2,000억원 이상 매칭 * 맞춤형 기업금융지원방안(2024년 2월)을 통해 5대은행은 매년 500억원씩 총 2,500억원 출자. 금번 펀드로 부울경지역 예비중견·중견기업의 투자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9년간 총 2조원 이상의 신규자금 투입. 특히 지자체(부산)가 사상 최초로 은행출자분에 대해 후순위를 보강하여 은행의 출자부담을 낮추고 투자중심의 펀드결성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소속 4개 정책금융기관(산은·기은·신보·기보)은 올해 247조 5천억원의 자금공급 중 비수도권에 약 100조원을 공급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지역활성화투자펀드는 올해에도 3조원 이상 투자될 수 있도록 지역의 유망한 투자처 지속 발굴.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금융위원회와 정책금융기관은 지역산업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를 매년 2,500억원 이상 조성해, 올해부터 2033년까지 동남권(부산·울산·경남) 중견기업, 예비중견기업에 투자합니다. 


또한, 정책금융기관(산은·기은·신보·기보)은 올해 247조 5천억원의 자금공급 중 비수도권에 약 100조원을 공급하여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금융위원회 #금융 #금융위 #금융정책 #금융당국 #금융위원장 #부산산업전환녹색펀드


*자세히 보기

https://blog.naver.com/blogfsc/223755193034

첨부파일
0211_동남권(부산·울산·경남) 지역 기업의 지분투자 지원을 확대합니다.zip (1 MB)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