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1697 페이지49/283
반려동물보험 가입부터 청구까지 간편하게!
2023-10-18
반려동물보험 가입부터 청구까지 간편하게! 보장범위·보험료 등을 보다 다양화! 반려동물 진료, 등록, 보험 가입·청구, 부가서비스를 One-Stop으로!
반려동물 양육비·진료비 경감을 위해 반려동물보험을 활성화하겠습니다! 관계부처 합동 반려동물보험 제도개선 방안 발표.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양육·치료비 부담 등이 높은 상황. 2018년 635만 마리 → 2022년 799만 마리(추산) 반려동물 평균 月 양육비(15만원) 중 병원비가 40%(6만원) (2022년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 반려동물 양육자의 약 83%가 동물병원 진료비에 부담 (2021년 11월, 소비자연맹 조사)
1. 반려동물보험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동물의료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농림축산식품부 주관)​​ 생체인식정보로 반려동물 등록 허용 등을 검토하고, 반려묘 등록 의무화 등도 검토·추진. 소비자가 동물병원에 요청시, 진료내역·진료비 증빙서류 발급 의무화 등도 검토·추진. 진료항목 표준화, 다빈도 중요진료비 게시(2023년 1월~)도 실효성 있게 이행. 보험·수의업계 간 협력체계 마련
2. 하나의 장소에서 One-stop으로 보험가입, 간편 청구, 반려동물 건강관리 및 등록 등이 가능토록 추진합니다.​​ 소비자가 어디서나 편리하게 원하는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동물병원·펫샵 등에서 판매 가능한 반려동물보험 상품 범위 확대 (2023년 하반기~) 동물병원에서 클릭 한번으로 보험사로 진료내역 전송·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청구 편의성 제고 (2024년 상반기~) 보험사가 다양한 반려동물보험 관련 서비스 제공 및 반려동물 등록대행 업무 기능을 지원 가능하도록 추진
3. 맞춤형 보험상품이 제공되도록 상품 구조를 개선하고, 신규 상품 개발 등도 추진합니다.​​ 현재 상품의 보장범위· 보험료 등을 보다 다양화하도록 추진 (2024년 1분기~) 일반 진료비용부터 암·심장수술 등 중증질환까지 다양하게 선택하여 보장받을 수 있도록 상품 구조 개선. 보장범위 등을 간소화하되 보험료를 낮춘 상품 출시 등도 검토. 적정 의료·보험서비스 이용 소비자에 대해 제공되는 할인혜택 증대. 저렴한 보험료로 이용가능한 신규 반려동물보험 상품 개발 등 검토 예정 (과잉진료 방지장치 마련 등을 전제)
4.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진입을 허용해 나갈 계획입니다.​ 심사요건을 충실히 심사하여 진입 허용 여부 판단. 재무건전성, 소비자보호 조치, 사업계획의 건전·타당성 뿐만 아니라 맞춤형 보험, 생애주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능력 등, 실질적인 소비자 편익증진 가능성 등도 고려 예정. 신규 진입 예정인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예시 A사 : 종합 보험상품에서는 진료+수술에 더해 고액의 검사·예방비 등도 보장. 고객의 수요에 맞춰 ‘수술비’ 만 보장하는 보다 저렴한 상품 출시. B사 : 건강검진·예방관리를 충분히 받은 경우 고령견도 가입 가능한 상품 운영. 견종별 유전적인 건강특성을 고려한 보험상품 운영
국민들께서 실생활에서 불편하다고 느끼는 사항이 진료·보험서비스 개선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반려동물보험 가입부터 청구까지 간편하게! 보장범위·보험료 등을 보다 다양화! 반려동물 진료, 등록, 보험 가입·청구, 부가서비스를 One-Stop으로!
반려동물 양육비·진료비 경감을 위해 반려동물보험을 활성화하겠습니다! 관계부처 합동 반려동물보험 제도개선 방안 발표.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양육·치료비 부담 등이 높은 상황. 2018년 635만 마리 → 2022년 799만 마리(추산) 반려동물 평균 月 양육비(15만원) 중 병원비가 40%(6만원) (2022년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 반려동물 양육자의 약 83%가 동물병원 진료비에 부담 (2021년 11월, 소비자연맹 조사)
1. 반려동물보험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동물의료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농림축산식품부 주관)​​ 생체인식정보로 반려동물 등록 허용 등을 검토하고, 반려묘 등록 의무화 등도 검토·추진. 소비자가 동물병원에 요청시, 진료내역·진료비 증빙서류 발급 의무화 등도 검토·추진. 진료항목 표준화, 다빈도 중요진료비 게시(2023년 1월~)도 실효성 있게 이행. 보험·수의업계 간 협력체계 마련
2. 하나의 장소에서 One-stop으로 보험가입, 간편 청구, 반려동물 건강관리 및 등록 등이 가능토록 추진합니다.​​ 소비자가 어디서나 편리하게 원하는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동물병원·펫샵 등에서 판매 가능한 반려동물보험 상품 범위 확대 (2023년 하반기~) 동물병원에서 클릭 한번으로 보험사로 진료내역 전송·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청구 편의성 제고 (2024년 상반기~) 보험사가 다양한 반려동물보험 관련 서비스 제공 및 반려동물 등록대행 업무 기능을 지원 가능하도록 추진
3. 맞춤형 보험상품이 제공되도록 상품 구조를 개선하고, 신규 상품 개발 등도 추진합니다.​​ 현재 상품의 보장범위· 보험료 등을 보다 다양화하도록 추진 (2024년 1분기~) 일반 진료비용부터 암·심장수술 등 중증질환까지 다양하게 선택하여 보장받을 수 있도록 상품 구조 개선. 보장범위 등을 간소화하되 보험료를 낮춘 상품 출시 등도 검토. 적정 의료·보험서비스 이용 소비자에 대해 제공되는 할인혜택 증대. 저렴한 보험료로 이용가능한 신규 반려동물보험 상품 개발 등 검토 예정 (과잉진료 방지장치 마련 등을 전제)
4.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진입을 허용해 나갈 계획입니다.​ 심사요건을 충실히 심사하여 진입 허용 여부 판단. 재무건전성, 소비자보호 조치, 사업계획의 건전·타당성 뿐만 아니라 맞춤형 보험, 생애주기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능력 등, 실질적인 소비자 편익증진 가능성 등도 고려 예정. 신규 진입 예정인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예시 A사 : 종합 보험상품에서는 진료+수술에 더해 고액의 검사·예방비 등도 보장. 고객의 수요에 맞춰 ‘수술비’ 만 보장하는 보다 저렴한 상품 출시. B사 : 건강검진·예방관리를 충분히 받은 경우 고령견도 가입 가능한 상품 운영. 견종별 유전적인 건강특성을 고려한 보험상품 운영
국민들께서 실생활에서 불편하다고 느끼는 사항이 진료·보험서비스 개선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반려동물의 진료, 등록, 보험 가입·청구, 부가서비스를 One-stop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추진하겠습니다.


✅동물의료 관련 인프라를 구축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One-stop으로 보험가입, 간편청구, 등록 등이 가능토록 추진

✅보험상품 구조를 개선하고, 신규 상품 개발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진입 허용 계획


국민들께서 불편하다고 느끼는 사항이 진료·보험서비스 개선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금융위원회 #금융 #금융위 #금융정책 #금융당국 #금융위원장 #반려동물 #반려동물보험 #동물병원 #보험 #농림축산식품부 #반려견 #반려묘


*자세히보기

https://blog.naver.com/blogfsc/223237764352

첨부파일
1018_반려동물보험 가입부터 청구까지 간편하게!.zip (1 MB)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