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1697 페이지49/283
우리 자본시장 신뢰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2023-10-19
우리 자본시장 신뢰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금융투자업계 대상 라운드테이블 개최
금융위원회는 최근 우리 자본시장 제도개선 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을 설명하고, 시장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금융투자업계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였습니다. (2023년 10월 19일)
우리 자본시장의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을 해소하고, 금융투자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시장과 소통했습니다. 제도개선 사항에 대한 시장의 이해도와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릴레이 세미나 개최. 1차: 코리아디스카운트 요인 해소 (2022년 9월∼11월) 2차: 금융투자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2023년 3월∼6월). 인도네시아·베트남·홍콩 등 아시아 주요 금융 중심지의 기관투자자 대상 관계부처 합동 투자자 설명회(IR) 개최.  2023년 9월 4일∼8일
우수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지원하고, 일반 투자자들도 자본시장을 통해 경제성장의 과실을 함께 향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자본시장 제도개선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했습니다. 제도개선만으로 시장의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불충분하며 금융투자업계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중요합니다. 투자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불법공매도 등 불공정거래 및 불건전 영업행위 근절을 위한 업계 스스로의 자정노력이 중요합니다.
자본시장 제도개선 추진 현황. 외국인 투자자 접근성 제고​.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 및 외국인 통합계좌 활성화 (2023년 12월 14일 시행 예정) 영문공시 확대 (2024년부터 단계적 시행 예정) 배당절차 개선 (정무위 계류). 일반주주 보호 강화. 물적분할 제도개선 (시행 중).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법사위 계류) 의무공개매수 제도화 (정무위 계류) 허수성 청약 방지 (시행 중) 불공정거래 대응 강화 (시행 중). 자본시장 역할 강화. ATS 예비인가 (2023년 7월 완료) BDC 제도화 (정무위 계류) 신탁업 혁신 (개정안 제출 추진). 자본시장 제도개선 노력이 전반적으로 국내외 투자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보다 적극적인 해외 IR, 정부·금융회사·상장사 등의 주요 공시·통계 영문 제공 확대 등을 추가 과제로 제언합니다!
추가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겠습니다! 주식시장의 경쟁력 강화 방안. 신종증권 및 STO 관련 제도개선 방안. 전환사채·자사주 제도개선 등  ​
우리 자본시장 신뢰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금융투자업계 대상 라운드테이블 개최
금융위원회는 최근 우리 자본시장 제도개선 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을 설명하고, 시장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금융투자업계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였습니다. (2023년 10월 19일)
우리 자본시장의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을 해소하고, 금융투자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시장과 소통했습니다. 제도개선 사항에 대한 시장의 이해도와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릴레이 세미나 개최. 1차: 코리아디스카운트 요인 해소 (2022년 9월∼11월) 2차: 금융투자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2023년 3월∼6월). 인도네시아·베트남·홍콩 등 아시아 주요 금융 중심지의 기관투자자 대상 관계부처 합동 투자자 설명회(IR) 개최.  2023년 9월 4일∼8일
우수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지원하고, 일반 투자자들도 자본시장을 통해 경제성장의 과실을 함께 향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자본시장 제도개선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했습니다. 제도개선만으로 시장의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불충분하며 금융투자업계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중요합니다. 투자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불법공매도 등 불공정거래 및 불건전 영업행위 근절을 위한 업계 스스로의 자정노력이 중요합니다.
자본시장 제도개선 추진 현황. 외국인 투자자 접근성 제고​.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 및 외국인 통합계좌 활성화 (2023년 12월 14일 시행 예정) 영문공시 확대 (2024년부터 단계적 시행 예정) 배당절차 개선 (정무위 계류). 일반주주 보호 강화. 물적분할 제도개선 (시행 중).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법사위 계류) 의무공개매수 제도화 (정무위 계류) 허수성 청약 방지 (시행 중) 불공정거래 대응 강화 (시행 중). 자본시장 역할 강화. ATS 예비인가 (2023년 7월 완료) BDC 제도화 (정무위 계류) 신탁업 혁신 (개정안 제출 추진). 자본시장 제도개선 노력이 전반적으로 국내외 투자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보다 적극적인 해외 IR, 정부·금융회사·상장사 등의 주요 공시·통계 영문 제공 확대 등을 추가 과제로 제언합니다!
추가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겠습니다! 주식시장의 경쟁력 강화 방안. 신종증권 및 STO 관련 제도개선 방안. 전환사채·자사주 제도개선 등  ​

금융위원회는 최근 우리 자본시장 제도개선 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을 설명하고, 시장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금융투자업계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였습니다. (10월 19일)


📌자본시장 제도개선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였으며 속도감 있게 추진한 결과 대부분 완료

📌금융투자업계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소통 노력 중요

📌불법공매도 등 불공정거래 및 불건전 영업행위 근절을 위한 업계 스스로의 자정노력 중요


#금융위원회 #금융 #금융위 #금융정책 #금융당국 #금융위원장 #자본시장 #금융투자업계 #코리아디스카운트 #주식시장


*자세히보기

https://blog.naver.com/blogfsc/223240719594

첨부파일
1019_우리 자본시장 신뢰향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zip (1 MB) 파일다운로드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